만석거萬石渠
건립 1795년(정조 19)
저수면적 24.7m, 몽리면적 82.2m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저수지.
일명 조기정방죽, 일왕저수지, 북지라고도 불린다.
1795년(정조 19) 정조 때 축조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용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길이는 387m, 높이는 4.8m, 저수면적은 24.7m, 몽리면적은 82.2m, 평균수심은 1.8m이다.
정조는 수원성을 축성하면서 수원성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에 네 개의 호수를 파고 방죽을 축조하였는데,
북쪽에 판 것이 만석거(萬石渠)이다.
1794년(정조 18) 극심한 가뭄이 들자, 정조는 화성 공사를 중지하고 가뭄에 대비한 구휼대책과
농가에 득이되는 수원화성 운영 재원마련을 위해 만석거를 조성하였다.
만석거는 당대 최신식 수문과 수갑을 설치하였으며,
여기에 모인 물을 농업용수로 이용하여 대규모 농장인 대유둔[北屯]을 설치하여 풍요로움을 누리고자 했다.
저수지 가운데는 작은 섬을 두어 꽃과 나무를 조화롭게 심었고 호수에는 연꽃을 심었으며,
호수남단의 약간 높은 곳에는 영화정(榮華亭)을 세워 만석거 부근을 조망할 수 있도록 배치하였다.
만석거는 예로부터 농업용수로 중요하게 사용되었고,
주변 경관 또한 아름다워 누렇게 익은 벼가 황금물결을 이루는 풍경은
‘석거황운’(石渠黃雲)이라 하여 수원 추팔경 중의 하나로 손꼽혔다.
한편
동쪽은 지금의 수원시 지동에 축조한 것인데 그 흔적을 찾을 수 없으며,
남쪽은 1798년(정조 22) 축조한 사도세자 묘역인 화산(花山) 현륭원(顯隆園) 앞의 만년제(萬年堤)이고,
서쪽은 1799년(정조 23) 축조한 수원시 서둔동의 축만제(祝萬堤, 西湖)이다.
이들 저수지들은 수원성[華城]을 수축하면서 장용위(壯勇衛)를 설치하게 되자
사관병졸들의 급료나 기타의 경비에 충당하기 위한 화성둔전(華城屯田)에 물을 대려고 판 것이었다.
만석거는 1997년 만석공원 조성으로 저수지의 일부가 매립되어 원래의 규모보다는 많이 축소되었지만,
현재는 만석공원으로서 시민들의 쉼터로 이용되고 있다.
만석거는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7년 10월 멕시코에서 열린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
제68차 집행위원회에서 ‘세계 관개시설물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만석공원 여의루 萬石公園 如意樓
만석공원 여의루 萬石公園 如意樓
만석공원의 연못은 북단에 수구(水口)를 파서 만석거의 수원인 광교천(光敎川)이 통하는 길을 만들었고
수구를 통하는 길을 여의동이라 하였다. 라는 기록이 있으며
수구위에는 여의교(如意橋)라 부르는 목재 다리를 만들어 가마가 지나가게 하였다고 한다.
팔달산 위령탑八達山 慰靈塔/ 청우회 수원지부 (0) | 2018.01.11 |
---|---|
만석거 영화정 萬石渠 迎華亭 (0) | 2018.01.10 |
방화수류정 화홍문 용연용지訪花隨柳亭 華虹門 龍淵 龍池 (0) | 2018.01.08 |
정조대왕 화산능행차 正祖大王 花山陵行次 (0) | 2018.01.08 |
화성행궁 (0) | 2018.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