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양평-좌의정 문충공 석호 민희(文忠公 石湖 閔熙),좌의정 문충공 설루 민희(文忠公 雪樓 閔熙)

구름에 달

by 碧巖 2018. 3. 18. 23:57

본문

728x90

 

 

좌의정 문충공 석호 민희(文忠公 石湖  閔熙)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부용리 산 39-4

 

 

 

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  驪興閔公諱熙之墓  配貞敬夫人東萊鄭氏祔左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좌의정  여흥민공휘희지묘  배정경부인동래정씨부좌

 

 

문충공 설루 민희(文忠公 雪樓 閔熙)

문충공 석호 민희(文忠公 石湖  閔熙)

1614(광해군 6)1687(숙종 13).

본관은 여흥(驪興). 호여(皞如), 설루(雪樓)또는 석호(石湖).

여주목사 민세주(閔世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민영(閔韺)이고,

아버지는 참판 민응협(閔應協)이며, 어머니는 김수현(金壽賢)의 딸이다.

민암(閔黯)이 쌍둥이 형이다.

민점(閔點)은 동생이다.

 

 

1650(효종 1)에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지평과 장령을 거쳐

1657년 보덕(輔德)으로 승진했으며,

집의(執義)를 거쳐 1661(현종 2) 경상도관찰사가 되었다.

당시 경상도는 27천여 명에 달하는 기황민(饑荒民)과, 

3,600여 명의 역병(癘病)환자가 있었다고 한다.

관찰사인 민희는 이러한 백성을 급히 진여곡을 풀어서 구제해 도민들의 칭송을 받았다.

1662년 승지가 되었고, 1663년 양주목사가 되었으나

석실서원(石室書院)의 사액치제(賜額致祭)때 전례(典禮)에 잘못이 있다고 해서 파직되었다.

그 뒤 곧 좌부승지로 복직되어 형조참의를 지내고, 1666년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다.

1668년 호조참판으로서 진하 겸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를 다녀왔다.

1669년 한성부판윤·관상감제조와 공조·이조·형조의 판서를 차례로 역임하였다.

1670년 청사(淸使)를 보내는 반송사(伴送使)가 되었으며, 1671년 강화부유수를 지내고

1675(숙종 1) 국장도감당상(國葬都監堂上)이 되었다.

이어 우참찬·대사헌·판의금부사·예조판서를 역임한 뒤

1677년 우찬성, 이듬해 우의정을 거쳐, 1680년 좌의정에 이르렀다.

원래 남인이었던 민희는 숙종의 즉위 이후 남인의 득세로 정계에서의 활약이 컸다.

특히, 송시열(宋時烈)을 영수로 하는 서인에 대한 의견 차이로 남인이 갈라질 때,

허적(許積)을 중심으로 하는 탁남(濁南)이 되어 더욱 조정에 중용되었다.

그러나 1680년의 경신환국 당시 남인이 실각될 때 관작을 삭탈당하고 위리안치되었다.

그 뒤 1686년에 풀려나서 전리(田里)로 돌아갔다.

1689년 기사환국 때 신원되었으며,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여흥민씨 선산도호부사 민함(閔諴) 가계//

증조부 공조전서 민세영(閔世榮)

조부 감찰어사 민경(閔卿)

부친 판한성부사 증좌찬성 민승서(閔承序)

모친 증 정경부인 강화황씨, 서운관정 황석(黃碩)의 따님

선산도호부사 민함(閔諴), 배위 충주박씨

   장남 민효증(閔孝曾)- 無後

   차남 돈녕부첨정 민계증(閔季曾)

      손자 종친부전첨 민총(閔叢)

         증손 여주목사 민시중(閔時中)

                 증 이조판서 민세주(閔世舟) - 자 민영(閔韺)

                 증 예조참판 민치중(閔致中)

            현손 민영(閔韺)- 민응회,민응협,

               5대손 이조참판 민응협(閔應協)-민희(閔熙),민점(閔點),민암(閔黯) 3형제 과거급제

                  6대손 좌의정 문충공 석호 민희(石湖 閔熙), 설루 민희(雪樓 閔熙)

                     7대손 민계도(閔啓道),早卒

                        8대손 진사 민원석(閔元錫)

                     7대손 평안감사 민취도(閔就道)

                     7대손 수운판관 민사도(閔思道)

                     7대손 경상감사 민창도(閔昌道)

                     7대손 시강원사서 민흥도(閔興道)

                        8대손 민원숭(閔元崇)

                     7대손 민처도(閔處道)

                  6대손 좌찬성겸 대제학 쌍오 민점(雙梧 閔點)-민안도, 민종도, 민홍도 3형제 과거급제

                  배위 정경부인 안동김씨, 충익공 하담 김시양(忠翼公 荷潭 金時讓)의 따님, 43

                     7대손 공조참의 민안도(閔安道)

                        8대손 민언보(閔彦輔), 민언주(閔彦冑), 민언린(閔彦麟)

                     7대손 병조판서 민종도(閔宗道)

                        8대손 정언 민언량(閔彦良)

                                  진사 민언상(閔彦相)

                                  진사 민언광(閔彦光)

                     7대손 병조좌랑 민홍도(閔弘道)

                        8대손 민언겸(閔彦謙)

                                 민언순(閔彦詢)

                          진사 민언심(閔彦諶)

                   7대손 성균 진사 민주도(閔周道)

                   7대손 민성도(閔成道)

                   7대손 성균진사 민주도(閔周道)

                   7대손 랑청 민성도(閔成道) 郞廳

                6대손 원임 대제학 우의정 차호 민암(叉湖 閔黯)

               배위 참판 김시진(金始振)의 따님

               계배 현감 정후준(鄭後俊)의 따님

                   7대손 경기도사 민장도(閔章道)

                                             민존도(閔存道)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