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문사龍門寺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625
용문산용문사龍門山龍門寺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이다. 용문산은 미지산(彌智山)이라고도 한다.
913년(신덕왕 2)대경대사(大鏡大師)가 창건하였다. 그러나,
649년(진덕여왕 3) 원효(元曉)가 창건하고
892년(진성여왕 6) 도선(道詵)이 중창하였다고 하며, 또 경순왕이 직접 이곳에 와서 창건하였다는 설도 있다.
1378년(우왕 4)정지국사(正智國師)지천(智泉)이
경천사(敬天寺)에 있던 우왕이 원각(願刻)한 대장경판을 이곳에 옮겨 세 칸의 대장전(大藏殿)을 지어 봉안했으며,
1395년(태조 4) 조안(祖眼)이 중창하였다.
1447년(세종 29)수양대군(首陽大君)이 모후 소헌왕후(昭憲王后)(심온의 녀)를 위하여 보전(寶殿)을 짓고,
불상 2구와 보살상 8구를 봉안한 뒤 이듬해 경찬회(慶讚會)를 열었다.
수양대군은 이 법회에 참석하여 기도하던 중 불사리(佛舍利)의 방광을 목격하고 이 절을 원찰(願刹)로 삼았으며,
1457년(세조 3) 퇴락한 법당과 승방(僧房)을 중수하였다.
1480년(성종 11) 처안(處安)이 중수하였으며,
1890년(고종 30)봉성(鳳城)이 조대비(趙大妃)의 외호를 받아 중창하였고, 1893년에도 한 차례 중창하였다.
1907년 의병 봉기 때 모든 건물이 불타자 취운(翠雲)이 큰방을 중건하였고,
1938년 주지 홍태욱(洪泰旭) 스님이 대웅전·어실각(御室閣)·칠성각·기념각·요사채 등을 복구하였으며,
6·25전쟁 때 용문산전투로 다시 불에 탔으나
1958년에 다시 재건하였다. 그 뒤
1983년 지장전·범종각·일주문 일부를 중수했고, 관음전과 요사를 보수하였다.
1994년에 긴 공사끝에 지장전이 완공되었다.
문화재로는 보물 제531호 정지국사부도(正智國師浮屠) 및 비가 있으며, 산신각 동쪽에는 부도 5기가 있다.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
절 앞에는 높이 42m, 가슴높이 둘레 14m의 큰 은행나무가 있는데,
전설에 의하면 마의태자가 망국의 한을 품고 금강산으로 들어가다가 이곳에 들러 심었다고 한다.
조선 세종때는 정삼품보다 높은 당상관 직첩(堂上官 職첩)을 하사받은 천연기념물 제30호의 명목이다.
대 웅 전
지 장 전
산령각
칠성각
미소전
관음전
범종루
강릉-실직군왕릉悉直郡王陵, 실직군왕 김위옹, 삼척김씨 시조 (0) | 2018.08.12 |
---|---|
양평-용문사,정지국사부도 및 비, (0) | 2018.08.07 |
용인-통덕랑이진만,고기동 광주이씨 (0) | 2018.08.06 |
용인-연화산 와우정사蓮華山 臥牛精舍, 팔상성도, (0) | 2018.08.05 |
용인-와우정사, 연화산 와우정사蓮華山 臥牛精舍 (0) | 2018.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