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대왕의 7왕자 경민공 견성군 이돈(景愍公 甄城君 李惇)
남양주시 향토유적 제12호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 152의 1
경민공 견성군 이돈(景愍公 甄城君 李惇)
[1482(성종 13)∼1507(중종 2)]
諱는 돈(惇), 字는 근지(謹之), 諡號는 경민(景愍).
성종대왕의 7남으로 어머니는 숙의(淑儀) 홍씨이며, 9세 때인 1491년(성종 22) 견성군에 봉해졌다.
1507년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인
전산군(全山君) 이과(李顆)가 주도한 모반사건에 이들의 추대를 받았다 하여 간성에 유배되고,
대신들의 극론(極論)으로 10월 22일 적소 간성에서 사약을 받고 사사되었다.
그뒤 역모에 가담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인정되어 이듬해 신원되었다.
배위는 증 좌찬성 우호(友灝)의 딸인 영양군부인(永陽郡夫人) 평산신씨이다.
슬하에 아들 두 명을 두었는데 장남은 완산군 이수함(完山君 李壽諴)이고,
차남은 계산군 이수계(桂山君 李壽誡)인데 계산군은 중부(仲父) 회산군(檜山君)의 후사로 출계하였다.
\
공의 집은 이현(梨峴)으로 창경궁 홍화문의 동남쪽에 있었다.
공이 사약을 받은 이유는 1507년(중종 2) 9월에 노영손(盧永孫)이 고하기를
“대사간 이과(李顆)가 견성군을 추대하고자 한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공은 그 해 10월에 강원도 간성으로 귀양갔다가 같은 달 22일에 사약을 받았으나
이듬해인 1508년(중종 3) 역모에 가담한 사실이 없음이 밝혀져 신원(伸寃)되었다.
또한 현손의 저술인 <둔암유고(遁巖遺稿)>와 견성군 유사(遺事)에는 그 사정이 다음과 같이 서술되어 있다.
1507년(중종 2)에 불궤(不軌)를 꾀하던 자가 잡혀서 심문을 받을 때,
중종대왕이 묻기를 “너희들은 누구를 임금으로 추대하기로 하였는가?” 하니
대답하기를 “견성군을 추대하기로 하였습니다.” 하자,
중종이 다시 묻기를 “그렇다면 견성군이 그 사실을 알고 있었는가?” 하자
대답하기를 “견성군은 덕이 있으며 겸양한 왕자이므로 사전에 말할 경우 반드시 따르지 않을 것이기에
일이 성사된 후에 추대하고자 하여 계책이 이미 정해졌으나 감히 말하지 못하였습니다.”고 하였다.
이에 앞서 공이 대궐 뜰에 도착하여 머리를 조아리고 아뢰기를
“소신은 임금님의 가까운 친족으로서 불충스런 무리들에게 추대되었는 바
놀랍고 두려워서 어찌할 바를 모르겠습니다. 나가서 대죄하고자 합니다.” 하였다.
그리고는 관을 벗고 머리로 땅을 치며 통곡하니 피눈물이 얼굴을 가렸다.
그러자 임금이 견성군에게 전교하기를 “저 불충한 무뢰배들이 그들끼리 서로 떠들어 댄 것이다.
견성군이 어떻게 그런 사실을 알았겠는가. 대죄하지 말라.” 하였다.
그러나 얼마 뒤에 간당배들이 재삼 상소하여 견성군에게 죄주기를 청하자 임금이 아무 말 없이 한참 동안 있었다.
그러다가 끝내 여러 사람들의 의론에 몰려 견성군을 간성으로 귀양보냈으며 뒤이어 사약을 내렸다.
유배지에서 사사되자 모든 사람들이 원통해 하였다.
그 뒤 1519년(중종 14) 조광조 · 김정 · 박상 · 이홍관 등 여러 사람들이 상소하여 견성군의 억울함을 하소연하자,
임금은 관작을 회복시켰으며 경민(景愍)이란 시호를 내리고
특별히 국사(國師)에게 명하여 포천 기흘에다 묘자리를 잡게 한 뒤 장례도감을 설치하여 역사를 시작하였다.
그리고 또 하교하기를 “서울에서 거리가 얼마나 되는가?” 하였다. 이에 80여 리쯤 된다고 답하자 즉시 전교하기를
“그의 아들들이 있으나 모두 나이가 어려 밤을 새워 오가는 것이 실로 염려가 되니
속히 서울에서 아주 가까운 산으로 묘자리를 다시 잡아서 그들로 하여금 오가는 데 편리하게 하라.” 하였다.
양주군 줄을동 중촌에 묘자리를 잡게 된 연유는 이런데서 기인한다.
예장(禮葬)과 치부(致賻)를 모두 왕자군의 규례에 따라 하였고,
조회를 정지하였으며 얼굴에 슬픈 기색을 띠고서 전교하기를
“천륜은 몹시 중한 것인데 한 때의 애매한 일로 하여서 형제간에 서로 보전하지 못하였다.” 하였다.
그 뒤 임금은 공의 부인 평산신씨에게 봄 가을로 쌀 20석씩 내려주게 하고
가묘에 관원을 보내어 제사지내니 조야가 이 소식을 듣고는 감동하지 않은 사람이 없었다.
공의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 152의 1 신좌에 있고
배위 영양군부인 평산신씨이며 공의 사우인 경민사(景愍祠)와 신도비 및 묘비가 있다.
성종왕자견성군신도비
甄城君之墓 永陽郡夫人申氏之墓
견성군지묘 영양군부인신씨지묘
견성군묘역 후경 차례대로 --견성군 이돈--장자 완산군 이수함--장손 선성군 이흠 묘역
견성군 묘역에서 증손 이락, 이택 묘역
견성군 묘역에서 손자 이균- 증손 이순- 현손 이유번 묘역
//전주이씨 경민공 견성군 이돈(景愍公 甄城君 李惇) 가계//
부친 제9대 성종
모친 숙의홍씨, 집현전제학 홍일동(洪逸童)의 따님
형님 완원군 이수(完原君 李𢢝,1481~1509)
형님 회산군 이념(檜山君 李恬,1482~1512)
동생 익양군 이회(益陽君 李懷,1488~1552)
동생 경명군 이침(景明君 李忱,1489~1526)
동생 운천군 이인(雲川君 李𪬦,1491~1524)
동생 양원군 이희(楊原君 李憘,1491~1551)
경민공 견성군 이돈(景愍公 甄城君 李惇,1482성종13∼1507중종2)
배위 영양군부인 평산신씨, 봉사 증 찬성 신우호(申友灝)의 따님
장남 완산군 이수함(完山君 李壽諴,1500연산6~1557명종12)
배위 기성군부인 평양이씨, 안분당 이희보(안분당 李希輔)의 따님
장손 선성군 이흠(宣城君 李欽,1522~1562)
배위 가평현부인 가평이씨, 무후
배위 광산현부인 광산김씨
증손자 충절공 덕림군 이락(忠節公 德林君 李洛,1549~1592) 삼충철공
현손 과천현감 증 좌승지 이건(李楗,1570~1647)
증손자 충절공 덕평수 이회(忠節公 德平守 李淮,1551~1592)
증손자 충절공 덕천수 이택(忠節公 德川守 李澤,1560~1592)
손자 평성부정 이균(枰城副正 李鈞,1523~ ?)
증손자 덕산수 이순(德山守 李洵,1546~1626)
현손 가평군수 이유번(李維藩)
손자 여성군 이석(驪城君 李錫,1525~ ?)
차남 계산군 이수계(桂山君 李壽誡), 출계 중부(仲父) 회산군 이념(檜山君 李恬)
남양주-평성부정 이균(枰城副正 李鈞), 덕산수 이순(德山守 李洵), 가평군수 이유번(李維藩), 여성군 이석(驪城君 李錫) (0) | 2018.10.04 |
---|---|
남양주-완산군 이수함(完山君 李壽諴), 선성군 이흠(宣城君 李欽), 덕림군 이락(德林君 李洛), 현감공 이건, 덕천수 이택(德川守 李澤)/삼충절공비 (0) | 2018.10.02 |
남양주-묘적사妙寂寺 (0) | 2018.09.30 |
남양주-흥선대원군 석파 이하응 興宣大院君 石坡 李昰應, 완흥군 흥친왕 이재면興親王 李載冕 (0) | 2018.09.29 |
남양주-인촌 김성수(仁村 金性洙), 일민 김상만 (一民 金相万), 화정 김병관(化汀 金炳琯), (0) | 2018.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