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상주-문장공 우복 정경세(文莊公 愚伏 鄭經世), 우복선생 신도비 愚伏先生 神道碑

구름에 달

by 碧巖 2019. 8. 28. 22:01

본문

728x90

 

 

진주정씨 문장공 우복 정경세(文莊公 愚伏 鄭經世)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부곡리 산53-1

 

 

우복 정경세(愚伏 鄭經世)

본관 진주(晉州).

는 경임(景任), 는 우복당(愚伏堂), 하거(荷渠), 승성자(乘成子), 석중도인(石衆道人).

아버지는 좌찬성 정여관(鄭汝寬)

어머니는 합천이씨(陜川李氏)  이가(李軻)의 따님.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이다.

1578(선조11) 경상도 향시(鄕試)에 응시 생원 진사 초시 합격.

1582년 회시(會試) 진사,

1586년 알성문과 을과(乙科) 급제 승문원부정자 임명

1588년 예문관검열 겸 춘추관기사관 곧 통사랑대교.

1596년 이조좌랑에 시강원문학, 겸영남어사, 홍문관교리, 경연시독관, 춘추관기주관, 이조정랑.

15982월 승정원우승지, 3월에 승정원좌승지로 승진되었고, 4월에는 경상감사.

1600년 영해부사가 되어 싸움을 잘하고 남을 모략하는 투서가 심한 풍습을 교화하였다.

           그 해 겨울 관직을 떠나 고향으로 낙향.

 

 

정경세는 도학(道學)이 정몽주(鄭夢周)에서 시작되어 이황(李滉)에게서 집성되었으며,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이언적(李彦迪) 같은 여러 현인들이 나와

정학(正學)으로 더욱 깊이 연구하여 왕성한 발전이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정경세는 영남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주에 서원을 세워야 한다고 역설하고,

생을 설득하여 도남서원(道南書院)을 창건하였으며, 이곳에 오현(五賢)을 종사(從祀)하였다.

 

1607년 대구부사로 나가 치적을 올렸고,

1608년 광해군이 즉위하여 교서를 내려 구언(求言)하자,

         만언소(萬言疏)를 올려 사치의 풍습을 경계하고 인물의 전형을 공정히 하며 학문에 힘쓸 것을 강조하였다.

1609(광해군 1) 봄 동지사로 명나라에 갔으며,

1610년 돌아와 화약(火藥)의 매입을 예년의 갑절로 하도록 병부(兵部)에 글을 올렸다.

          이후 명나라와 교섭하여 그 수입에 힘썼기에 특지(特旨)로 가선대부(嘉善大夫)의 칭호를 받았다.

 

16104월 성균관대사성, 10월에는 외직을 원해 나주목사 12월에는 다시 전라감사.

1611년 8월 정인홍(鄭仁弘) 일당의 사간원 탄핵으로 해직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정국이 변화하자 3월 홍문관부제학이 제수되었다.

이후 대사헌·승정원도승지·의정부참찬·형조판서·예조판서·이조판서·대제학 등의 관직을 거치었다.

 

 

정경세의 학문은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의 학통을 계승하였다.

 

정경세는 경전에 밝았으며,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다.

제자로는 전명룡(全命龍)·신석번(申碩蕃)·강진룡(姜震龍)·황뉴(黃紐)·홍호(洪鎬) 등이 있다.

저서로는 우복집(愚伏集)·상례참고(喪禮參考)가 있다.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문장(文莊)이다.

 

 

 

文莊公愚伏鄭先生之墓 貞敬夫人眞城李氏祔左

문장공우복정선생지묘 정경부인진성이씨부좌

 

 

 

 

 

 

 

 

 

 

 

 

 

 

문장공 우복 정경세의 장남 예문관 검열  정심(鄭杺)

 

承仕郞禮文館檢閱兼春秋館記事官鄭公之墓

승사랑예문관검열겸춘추관기사관정공지묘

 

 

문장공 우복의 차남 선교랑 정학鄭㰒

 

 

宣敎郞鄭公之墓 宜人晉山姜氏祔左

선교랑정공지묘 의인진산강씨부좌

 

 

文莊公 愚伏先生 神道碑문장공 우복선생 신도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1

상주시 공검면 부곡리 27-3

 

 

 

 

 

 

 

 

우복(愚伏) 정 선생(鄭先生) 신도비명(神道碑銘) 병서(幷序)

정헌대부(正憲大夫) 원임(原任) 의정부좌참찬(議政府左參贊) 조경(趙絅) .

정경세의 증손 정석교가

경상감사 이명준으로부터 기증 받은 남포석(藍浦石)에 비각작업을 하고 세우지 못하던 것을

현손(玄孫) 정주원이 쓰고1758년에 6대손 정종로가 건립했다.

비석규모가 장대하고 글씨보존이 전체적으로 양호하다.

정경세 신도비는 2000124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1호로 지정되었다.

 

 

 

 

 

 

 

 

 

 

 

 

 

 

 

 

 

 

 

 

 

 

 

//문장공 우복 정경세 文莊公 愚伏 鄭經世 가계//

  9대조 상주목사 정택(鄭澤)

 

증조부 정계함(鄭繼咸)

   조부 정은성(鄭銀成)

아버지 좌찬성 정여관(鄭汝寬)  

어머니 합천이씨, 이공가(李公軻)의 따님, 강양군 이요(江陽君 李瑤) 의 후손

          문장공 우복 정경세(文莊公 愚伏 鄭經世)

          초배 전의이씨, 부장 이해(李海)의 따님

          후배 정경부인 진성이씨,진보이씨, 충순위 이결(李潔)의 따님

                    장남 예문관검열 정심(鄭杺)

                         손자 창녕현감 정도응(鄭道應) 

                               증손자 영양현감 환성재 정석교(喚惺齋 鄭錫僑)

             차남 선교랑 정학(鄭㰒)

                    삼남 만호 증 지중추부사 정력(鄭櫟)

                         손자 정도징(鄭道徵)

 

 

벽암두릉연가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