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경기광주-의안대군 오원소도공 이방석(宜安大君 五原 昭悼公 李芳碩), 경기도 기념물 제166호.

구름에 달

by 碧巖 2019. 12. 5. 23:25

본문

728x90

 

 

 

 

의안대군 오원소도공 이방석 (宜安大君 五原昭悼公 李芳碩)

경기도 기념물 제166.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엄미리 산152

 

 

 

의안대군 오원소도공 이방석(宜安大君 五原昭悼公 李芳碩_

1382(우왕 8)~1398(태조 7)

 

1대 태조 이성계의 여덟째 아들인 왕자.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이방석(李芳碩).

태조의 제8왕자로,

어머니는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康氏)이며, 이복형이 태종이다.

초취(初娶)는 현빈유씨(賢嬪柳氏)1393(태조 2) 6월에 폐출되었다.

재취(再娶)는 부유심씨(富有沈氏) 는 예문춘추관대제학 심효생(沈孝生)의 딸로

139410월에 세자빈으로 삼았다가

13979월에 현빈으로 봉해졌으며,

13988월에 길례를 올렸다. 무자(無子)이다.

    

 

 

아버지 이성계(李成桂)의 공훈으로 유년에 고려로부터 군기녹사(軍器錄事)에 제수되었다.

1392(태조 1) 8월 세자 책봉 문제가 일어났을 때

배극렴(裵克廉) 등이 왕비 한씨(韓氏) 소생의 정안군 이방원(靜安君 李芳遠)의 책립을 주장하였다.

 

이 때 신의왕후 한씨는 이미 죽었으므로 태조는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康氏)의 의향을 중히 여겨,

7왕자인 무안군 이방번(撫安君 李芳蕃)을 세우고자 하였다.

그러나 배극렴, 조준(趙浚), 정도전(鄭道傳) 등이 굳이 강씨의 소생으로 세자를 삼으려면

성격이 광망(狂妄)하고 경솔한 이방번보다는 이방석으로 삼자고 청해 세자로 책봉되었다.

 

그 뒤 모후의 보살핌과 정도전, 남은(南誾) 등의 보호로 세자로서의 자질을 익혔으나,

13968월에 모후 강비가 죽으면서 세자의 지위가 약화되었다.

13988월 세자 책봉과 정도전 일파의 병권 집중에 반대한

이방원이 주동이 된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정도전, 남은, 심효생(沈孝生) 등이 살해되었으며,

그는 폐위되어 귀양가던 도중, 이숙번(李叔蕃)에 의해 살해되었다.

 

1406(태종 6) 8월 소도(昭悼)의 시호를 받았다.

1437(세종 19) 6월 세종의 배려로 금성대군 이유(錦城大君 李瑜)를 후사로 정하면서

입묘봉사(立廟奉祀: 사묘를 세우고 제사를 받듬.)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오원(五原)을 증읍(贈邑)받고 사우(祠宇)가 건립되었다.

1680(숙종 6) 7월 영춘추관사 김수항(金壽恒) 등의 상언에 따라 의안대군으로 추봉되었다.

 

 

 

 

 

 

 

 

 

전면은 삼한국대부인 부유심씨이고 후면이 오원소도공 이방석의 묘소이다.

 

 

 

 

 

 

 

 

 

 

                                  三韓國大夫人富有沈氏之墓

                                  삼한국대부인부유심씨지묘

 

 

 

 

 

 

 

 

 

 

오원 소도공 묘소

 

 

 

 

 

 

 

 

 

 

                                  有名朝鮮國五原昭悼公之墓

                                  유명조선국오원소도공지묘

 

 

 

 

 

 

 

 

 

 

 

 

 

 

 

 

 

 

1 : 태 조(太 祖=이성계, 1335 ~ 1408) ,재위기간 1392 ~ 1398.

 

* 신의왕후 안변한씨(神懿王后 安邊韓氏)

       -진안대군 이방우(鎭安大君 李芳雨)

       -정종,영안대군 이방과(永安大君 李芳果)

       -익안대군 이방의(益安大君 李芳毅)

       -회안대군 이방간(懷安大君 李芳幹)

       -태종,정안대군 이방원(靖安大君 李芳遠)

       -덕안대군 이방연(德安大君 李芳衍)

       -경신공주(慶愼公主)==상당부원군 이애(上黨府院君 李薆)

       -경선공주(慶善公主)==청원군 심종(靑原君 沈淙)

* 신덕왕후 곡산강씨(神德王后 谷山康氏)

        -무안대군 이방번(撫安大君 李芳蕃)

        -의안대군 이방석(宜安大君 李芳碩)

        -경순공주(慶順公主)==흥안군 이제(興安君 李濟)

* 후궁(後宮)

       -의녕옹주(宜寧翁主)==개천위 이등(啓川尉 李簦)

* 화의옹주 김씨(和義翁主 金氏)

       -숙신옹주(淑愼翁主)==당성위 홍해(唐城尉 洪海)

 

 

 

                                                                                             벽암두릉연가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