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실蔣英實
혼천의渾天儀, 자격루自擊漏, 측우기測雨器
충남 아산시 인주면 문방리 79-6
장영실의 아버지는 원나라 소항주 출신의 귀화인이다.
조선 초기시대는 중원에서 원나라가 축출되고 명나라가 기세를 올리던 때이다.
중국에서 왕조가 흥망하면 수많은 망명객들이 조선으로 몰려오던 시대이다.
《아산장씨세보》에 장영실蔣英實은 항주 출신인 장서(蔣壻)의 9세손이고,
부친은 장성휘(蔣成暉)라고 기록되어 있다.
세종 시대에 그가 관노라는 비천한 신분에도 불구하고 타고난 재능과 기술로
조선 전기 과학기술 수준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본관은 아산(牙山). 아버지는 귀화한 중국인이며, 어머니는 관기였다고 한다.
동래현(東萊縣)의 관노로 있다가 뛰어난 기술재능으로 발탁되어,
1423년(세종 5) 노비 신분을 벗고 상의원별좌(尙衣院別座)로 임명되었다.
1424년 중국의 체제를 참고하여 물시계를 만들어 그 공으로 행사직(行司直)이 되었다.
1432년 인수부윤(仁壽府尹)을 지낸 안동인 김돈(金墩)과
예안인 익양공 불곡 이천(禮安 翼襄公 佛谷 李蓚) 등을 도와 간의대(簡儀臺)와 보루각(報漏閣) 제작에 착수하고,
각종 천문기기의 제작을 감독했다.
1433년 호군(護軍)에 올랐으며, 같은 해 6월 혼천의(渾天儀)를 완성했다.
1434년 김해인 공간공 졸재 김조(恭簡公 拙齋 金銚/초명 김빈金鑌)과 함께
자동시보(自動時報) 물시계인 자격루(自擊漏)를 만들었다.
11세기 송(宋)의 소송(蘇頌)이 제작한 천문시계장치와
아라비아 시계의 자동시보장치에 영향을 받은 이 시계는 시(時), 경(更), 점(點)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종과 북과 징을 쳐서 시보를 알리도록 되어 있었다.
1434년 7월 1일부터 사용된 표준시간은 자격루에 맞추어 운용되었다.
또한 같은 해 금속활자인 경자자의 결함을 보완한 갑인자 제작을 감독했다.
1437년 천체관측용 기구인 대.소간의(大小簡儀), 공중시계인 앙부일구(仰釜日晷),
휴대용 해시계인 현주일구(懸珠日晷), 태양시(太陽時)와 항성시(恒星時)를 측정하여
주야 겸용 시계로 쓴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 태양의 고도와 출몰을 측정하는 규표 등을 완성했다.
1438년 자격루의 일종인 옥루(玉漏)를 제작, 완료하고
경상도 채방별감(埰訪別監)이 되어 동(銅)·철(鐵)의 채광·제련을 지휘, 감독했다.
1441년 강우량 측정기인 측우기(測雨器)와 하천 수위 측정기인 수표(水標) 제작을 감독, 완성했다.
상호군(上護軍)으로까지 특진했으나
1442년 그의 감독으로 제작된 왕의 가마가 부서지는 바람에 투옥, 파면 당하였다.
그러나 이는 가마 제작의 최고 책임자가 아닌 상태에서 일어난 일이며,
관노이면서도 상호군(上護軍)까지 특진을 시켜주며 총애하던 세종이 대명과의 관계에서
대명이 모르게 천체관측 기구를 제작함으로 인하여 파생된 외교관계의 희생양이었다는 관측이 있다.
牙山蔣公英實科學先賢祭壇改築記
아산장공영실과학선현제단개축기
과학자蔣英實선생추모비
과학자장영실선생추모비
아산장씨 시조 장서 牙山蔣氏 始祖 蔣壻
아산 장씨(牙山蔣氏)의 시조 장서(蔣壻)는 중국 송나라에서 신경위대장군(神慶衛大將軍)을 지냈으며,
금나라가 송을 침입하자 이강(李綱)과 함께 항전할 것을 주장했으나 관철되지 않자
배를 타고 망명해 경기도 아산군 인주면 문방리에 표착하였다.
당시 좌복야 박인량(朴寅亮)과 재보 위계정(魏繼廷)이 장서가 아산에 와 있는 사실을 고려 예종에게 알렸고,
왕이 장서를 아산군(牙山君)에 봉하고 후손들이 본관을 아산으로 하였다.
아산장씨 시조 아산군 장서 묘도비
有宋金紫光祿大夫神慶衛大將軍高麗牙山君蔣公墓道碑
유송금자광록대부신경위대장군고려아산군장공묘도비
아산장씨 시조 장서牙山蔣氏 始祖 蔣壻
아산-영인 신현리 미륵불牙山 靈仁 新峴里 彌勒佛,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34호 (0) | 2019.12.15 |
---|---|
아산-공세곶고지貢稅串庫址, 삼도해운판관비三道海雲判官碑, 이명래李明來고약 (0) | 2019.12.14 |
대구-영가부원군 문경공 만보당 김수동(永嘉府院君 文敬公 晩保堂 金壽童), 문경공 김수동 신도비명 (0) | 2019.12.09 |
대구-신숭겸장군유적申崇謙將軍遺蹟, 埋板壇매판단, 충장공 김락忠壯公 金樂 (0) | 2019.12.08 |
대구-신숭겸장군유적申崇謙將軍遺蹟, 대구광역시 기념물 제1호 (0) | 2019.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