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광주-염간공 마재 정충량(廉簡公 磨齋 鄭忠樑)

구름에 달

by 碧巖 2020. 5. 1. 22:54

본문

728x90

 

 

염간공 마재 정충량(廉簡公 磨齋 鄭忠樑)

 동래정씨 소평공파 종중묘역 및 석물

경기 광주시 장지동 산 64-1

광주시 향토문화유산 기념물 제10

 

 

염간공 마재 정충량 신도비와 아버지 소평공 정광세 신도비

 

 

염간공 마재 정충량(廉簡公 磨齋 鄭忠樑) 신도비

 

朝鮮國贈資憲大夫司憲府大司憲  兼都摠府都摠管  諡廉簡公  磨齋東來鄭先生神道碑銘 幷序

조선국증자헌대부사헌부대사헌  겸도총부도총관  시염간공  마재동래정선생신도비명 병서

 

 

 

 

 

 

 

 

 

 

염간공 마재 정충량(廉簡公 磨齋 鄭忠樑)

1480(성종11)~1523(중종18)

본관은 동래(東萊). 는 숙간(叔幹), 는 마재(磨齋)이다.

정사(鄭賜)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정난손(鄭蘭孫)이고,

아버지는 형조판서 정광세(鄭光世)이며, 어머니는 정경부인 흥해배씨로  배조(裵稠)의 딸이다.

1501(연산군 7) 생원·진사시를 거쳐 1506년 별시문과에 정과로 급제, 검열에 임용된 뒤 대교를 거쳐

1507(중종 2) 봉교가 되었다. 이 때 동료 김흠조(金欽祖)와 함께 무오사화 때 화를 입은 사람의

신원(伸寃: 억울하게 입은 죄를 풀어줌)과 사관(史官)의 직필(直筆)을 보장해줄 것을 주청하기도 하였다.

그 뒤 전적·공조좌랑·형조좌랑·장예원 사의(掌隷院司議

황해도도사·병조정랑·공조정랑·예조정랑 등을 역임한 뒤, 1511년 헌납이 되었다.

그 뒤 지평·장령·집의·승문원참교·내자시정(內資寺正사섬시정(司贍寺正사재감정을 역임하였다.

 

1518년 홍문관직제학을 거쳐 이듬해 도승지가 되었으나,

사헌부·사간원으로부터 적합한 인물이 아니라는 탄핵을 받아 곧 이조참의로 옮겼다.

그 해 기묘사화가 일어나 대간의 탄핵으로 공조참의로 피척(被斥)되어 수년 후 졸하였다.

침착하고 행동이 곧으며 말이 없고 근검하였을 뿐만 아니라,

남의 잘못을 들추지 않고 담박(淡泊)하여 명리에 급급하지 않았다는 평을 받았다.

염간공 정충량(廉簡公 鄭忠樑)墓碣

1523년 모재 김안국(慕齋 金安國)선생이 글을 짓고

            당대의 명필인 유연재 김희수(悠然齋 金希壽)가 글씨를 썼다.

 

 

 

 

정충량묘갈비  通政大夫吏曹參議鄭公墓碣銘幷序

                      통정대부이조참의정공묘갈명병서

資憲大夫全知中樞府事  兼全羅道觀察使兵馬水軍節度使  金安國 撰

자헌대부전지중추부사  겸전라도관찰사병마수군절도사  김안국 찬

                                         嘉善大夫行僉知中樞府事  金希壽 書

                                         가선대부행첨지중추부사  김희수 서

 

 

 

 

 

 

 

 

 

 

 

 

 

 

//동래정씨 소평공파 염간공 마재 정충량(廉簡公 磨齋 鄭忠樑) 가계//

고조할아버지 결성현감 정구령(鄭龜齡)

증조할아버지 정사*鄭賜)

      할아버지 첨지중추부사, 증 좌찬성 정난손(鄭蘭孫)

         할머니 광주노씨 노섭(盧攝)의 딸

         아버지 좌찬성 소평공 정광세(鄭光世)

         어머니 정경부인 흥해배씨, 진무부위 배조(裵稠)의 따님, 전라도관찰사 배환(裵桓)의 손녀

            숙부 정광문(鄭光門), 참의 정광국(鄭光國),  돈녕부정 정광정(鄭光廷

                   기묘명현 염간공 마재 정충량(鄭忠樑)

                   배위 숙부인 전주이씨, 종실 하음부정(河陰副正)  이재(李梓)의 따님

                         자 죄통예 정수후(鄭守厚),  배위  견성군 이돈(甄城君 李惇)의 따님

                             손자 증 좌승지 정인수(鄭麟壽)

                                    증손자 선무랑 정사민(鄭思敏), 정사신(鄭思愼) 옆 구릉에 별도로

                                          현손 사직서령 정홍보(鄭弘輔)

                             5대손 사도시정 정공원(鄭公遠)

                                6대손 증 좌승지 정상주(鄭相周)

                                  7대손 통덕랑 정석조(鄭碩祚)

                                  7대손 군기시주부 정석희(鄭碩禧)

                                  7대손 증 호조참의 정석기(鄭碩祈0

 

                                                                                                                                                                                                벽암 두릉연가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