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용인-형조정랑 석암 이우성 묘(石菴 李羽成), 신천군수 이하성(李厦成),

구름에 달

by 碧巖 2021. 2. 10. 21:13

본문

728x90

문정중학교 제20회 등산로-

문충공 백헌 이경석의 손자 형조정랑 석암 이우성(石菴 李羽成)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동 산 135-8

수지성당 삼거리에서 등산로를 따라 1.6km

석암 이우성(石菴 李羽成)

본관은 전주(全州), 는 의경(儀卿) 는 석암(石菴)이다.

영의정을 지낸 문충공 백헌 이경석(文忠公 白軒 李景奭)의 손자로,

아버지는 괴원 이철영(槐園 李哲英,1613~1662)이며,

어머니는 증 숙부인 보성오씨이다. 부인은 동래정씨이다.

음으로 호조와 공조의 좌랑을 지나 봉화현감 재직중 훈련도감이 되었으나

중전이 폐비(廢妃, 숙종비 인현왕후)되자 사퇴하였다.

1694(숙종20)에 금부도사를 거쳐 공조와 형조정랑을 마치고

1695년 진안현감(鎭安縣監)으로 2년 재임 중 임지에서 58세에 졸 하였다.

21녀를 두니

장남은 강서현령 이진양(李眞養)이고,

차남은 대제학 도운 이진망(陶雲 李眞望)이다.

석암 이우성(石菴 李羽成)

10여년간 조부인 백헌(白軒)의 문집자료 수집에 노력하여 발간 준비를 마치고 졸하여

아들인 이진양(李眞養)과 도운 이진망(陶雲 李眞望)이 공의 유지를 받들어 백헌집(白軒集)을 발간하였다.

묘비는 차남인 예조판서 대제학 도운 이진망(陶雲 李眞望)이 찬 하였다.

朝鮮刑曹正郞 贈吏曹判書 李公羽成墓 貞夫人東萊鄭氏祔左

조선형조정랑 증이조판서 이공우성묘 정부인동래정씨부좌

 

贈吏曹判書 行刑曹正郞 李公羽成頌德碑

증이조판서 행형조정랑 이공우성송덕비

 

 

 

 

문충공 백헌 이경석(白軒 李景奭)의 손자 신천군수 이하성(信川公 李厦成)

信川公厦成頌德碑

신천공하성송덕비

 

신천군수 이하성(信川公 李厦成),

영의정을 지낸 문충공 백헌 이경석(文忠公 白軒 李景奭)의 손자로,

아버지는 괴원 이철영(槐園 李哲英,1613~1662)이며,  어머니는 증 숙부인 보성오씨이다.

신천공 이하성(信川公 李厦成)은 신천군수(信川郡守)를 역임하였으며

임파현령(臨坡縣令) 재직시 할아버지 백헌 이경석(白軒 李景奭)을 위한 변무소(辨誣疏)를 올리니

막강(莫强)한 세력(勢力)인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의 노론측 주장에 대한 반박 상소(上疏)였다.

당시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이 권력의 핵심부에 있었던 격랑의 정변속에서 감히 어려운 용단이였다.

이는 인조의 항복으로 이어진 삼전도 비문을 지은 백헌에 대하여

노론측의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이 백헌 이경석(白軒 李景奭)을 ‘향원(鄕原)’에 비유하였으니

‘향원’은 요즘 말로 ‘악덕 지방 유지’ 정도에 해당된다.

우암의 명분론에 의거한 견해로는,

백헌(白軒)이 당시 그렇게까지 굴욕적인 문자를 동원해 비문을 짓지 않고

그저 짓는 시늉만 했으면 되었는데 자존심을 모조리 무너뜨린 상태로 지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일반적인 반론은 그의 손자인 신천공 이하성(信川公 李夏成)을 통해 들을 수 있다.

“우리 임금이 몸을 굽히고 욕을 참으신 것은 종묘사직을 위하고 만백성을 위해 부득이한 일이었습니다.

인조께서는 처음에 신풍부원군 계곡 장유(谿谷 張維), 한평부원군 석루 이경전(韓平府院君 石樓 李慶全),

전부사(前府使) 조희일(趙希逸) 및 신의 조부에게 함께 의논해 하룻밤 사이에 지어오라고 명하였는데,

소를 올려 끝까지 사양하였지만 사세가 급박하였기 때문에

일신의 명예를 떠나서 할 수 없이 지어 바쳤던 것입니다.”라며

비문을 그의 뜻이 아니라 강압에 의해 지었음을 호소한 바 있다.

공은 72세로 졸하여 성남 석운동에 묘역을 조성하였으나 유실되어 부득이

형님 석암 이우성(石菴 李羽成)의 묘역 경내(境內)로

1999년 전주이씨 백헌공종중에서 추모의 송덕비를 세우게 되었다고 한다.

문충공 백헌 이경석(白軒 李景奭)의 손자 석암 이우성(石菴 李羽成) 묘역후경

 

//전주이씨 형조정랑 증 이조판서 석암 이우성(石菴 李羽成) 가계//

    9대조 조선2대 정종 이방과(定宗 李芳果,1357~1419)

    8대조 덕천군 적덕공 이후생(德泉君 積德公 李厚生)

    7대조 신종군 공간공 이효백(新宗君 恭簡公 李孝伯)

    6대조 완성군 이귀정(莞城君 李貴丁,1454~1527)

    5대조 함풍군 이계수(咸豐君 李繼壽,1477~1558)

   고조부 이수광(李秀光), 충의위, 증 의정부좌찬성

   증조부 동지중추부사 우곡 이유간(愚谷 李惟侃)

할아버지 문충공 백헌 이경석(文忠公 白軒 李景奭) 영의정

   할머니 정경부인 전주류씨, 관찰사 증 영의정 류색(柳穡)의 따님

   아버지 평시서령 괴원 이철영(槐園 李哲英)

   어머니 증 숙부인 보성오씨

   어머니 증 정부인 기계유씨

            석암 이우성(石菴 李羽成) 형조정랑, 증 이조판서

            배위 정부인 동래정씨, 정이화(鄭以和)의 따님

                   장남 강서현령 이진양(李眞養)

                     배위 영인 남원윤씨, 황해도 관찰사 윤반(尹攀)의 따님

                   차남 대제학 도운 이진망(陶雲 李眞望)

                     배위 정경부인 반남박씨, 좌수영판관 박태여(朴泰輿)의 따님

                             손자 대제학 관양 이광덕(冠陽 李匡德)

                               배위 증 정부인 풍양조씨, 대사간 조경명(趙景命)의 따님

                               배위 정부인 광주정씨, 정오규(鄭五奎)의 따님

                             손자 이광의(李匡誼)

                             손자 이광문(李匡文)

           동생 이하성(李厦成), 신천군수(信川郡守)

                  조카 이진좌(李眞佐) 직장

                         손자 이광주(李匡周)

                  조카 이진정(李眞鼎) 진사

                         손자 이광도(李匡度) 현감

                         손자 이광범(李匡範)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