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조판서 파운 오준영(坡雲 吳俊泳)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 산50-1번지
이조판서 파운 오준영(坡雲 吳俊泳1829~1894)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영중(英仲), 호는 파운(坡雲)이다.
증조부는 오윤상(吳允常), 할아버지는 오치성(吳致成),
아버지는 오우선(吳友善)이며, 오홍선(吳弘善)에게 입양되었다.
어머니는 홍주목사 증 이조판서 서호순(徐灝淳)의 따님이고 부인은 홍종호(洪鍾浩)의 따님이다.
파운 오준영(坡雲 吳俊泳)은 1829년(순조 29) 출생하여 1855년(철종6) 27세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1860년 문음으로 의금부도사에 제수되었다. 1861년 33세에 식년시에 병과로 급제한 후 1863년 부응교를 거쳐 이듬해 사간이 되었다. 그 후 여러 관직을 거쳐 1871년(고종 8) 이조참의, 1874년 좌부승지, 1881년 이조참판, 1882년 동지의금부사, 1883년 대사헌, 1885년 도승지, 1886년 형조판서, 1888년 우참찬 등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1888년 경기도관찰사와 이듬해 황해도관찰사를 지냈다. 황해도관찰사로 재임할 때 장산곶과 장연부의 오차진(吾叉鎭)이 지리적 요충지로서 병력 증원과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정부에 건의하였고, 연안부남대지(延安府南大池) 건설의 총책임자로 활동하였다. 1890년 이후부터 방곡령을 실시하였는데, 당시 일본인 2명이 김천(金川) 조포(助浦) 지역에서 대두(大豆)를 매점하여 인천으로 운송하려는 것을 금지시켜, 이른바 황해도 방곡사건을 일으켰던 장본인이기도 하다. 여기서 방곡령은 흉작 등으로 국내의 식량이 부족할 경우 지방관의 명령으로 미곡수출을 금할 수 있도록 한 조치이다. 1891년에는 한성부판윤과 예조판서 등을 거쳐, 1892년에는 이조판서와 사헌부대사헌을 역임하였다. 1894년(고종 31) 졸하였다. 묘는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 있고, 1919년에 세운 묘갈은 아들 오정근(吳正根)이 찬(撰)하고, 글씨는 전 이조판서 윤용구(尹用求)가 썼다.
吏曹判書海州吳公俊泳之墓 貞夫人南陽洪氏祔左 貞夫人驪興閔氏祔右
이조판서해주오공준영지묘 정부인남양홍씨부좌 정부인여흥민씨부우
己未五月日 不肖孤正根泣皿謹識 崇祿大夫前吏曹判書海平尹用求書
기미오월일 불초고정근읍명근지 숭록대부전이조판서해평윤용구서
1919년 5월 불초 오정근(吳正根)이 적고 석촌 윤용구(石村 尹用求)가 쓰다.
이조판서 파운 오준영(坡雲 吳俊泳) 묘역후경
//해주오씨 이조판서 파운 오준영(坡雲 吳俊泳) 가계//
7대조 형조판서 증 영의정 충정공 양곡 오두인(忠貞公 陽谷 吳斗寅,1624~1689)
6대조 문효공 해창위 취몽헌 오태주(文孝公 海昌慰 醉夢軒 吳泰周,1668∼1716)
5대조 대제학 문목공 월곡 오원(文穆公 月谷 吳瑗, 1700~1740), 生父 군수 오진주(吳晋周)
고조부 대제학 문정공 순암 오재순(文靖公 醇庵 吳載純,1727~1792)
증조부 증 이조참의 영재 오윤상(寧齋 吳允常,1746~1783)
증조모 증 숙부인 광산김씨, 열부정려, 현령 김상성(金相聖)의 따님
조부 상주목사 오치성(吳致成), 생부 문원공 오희상(文元公 吳熙常,1763~1833)
아버지 증 이조판서 오홍선(吳弘善)
어머니 증 정부인 대구서씨, 홍주목사 증 이조판서 서호순(徐灝淳)의 따님
이조판서 파운 오준영(坡雲 吳俊泳, 1829~1894), 생부 오우선(吳友善)
배위 정부인 여흥민씨, 증 이조판서 민용현(閔龍顯)의 따님
배위 정부인 남양홍씨, 부사 홍종호(洪鍾浩)의 따님
자 궁내부특임관 소파 오정근(小坡 吳正根,1868~1946),생부 오흥영(吳興泳)
배위 정부인 연안이씨, 판서 이도재(李道宰)의 따님
계배위 정부인 상주황씨, 황노정(黃魯正)의 따님
손자 오봉환(吳鳳煥)
============================================================================
이조판서 파운 오준영(坡雲 吳俊泳)의 증조부 증 이조참의 영재 오윤상(寧齋 吳允常)
증 이조참의 영재 오윤상(寧齋 吳允常,1746영조22~1783정조7)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사집(士執), 호는 영재(寧齋). 대제학(大提學) 판서(判書) 순암(醇菴) 오재순(吳載純)의 아들이다. 김원행(金元行, 1702~1772)의 문하(門下)에서 배웠다. 학문에 뛰어나 두 아우를 가르치기도 하였다. 용모(容貌)가 단정(端正)하고 성품(性品)이 너그럽고 후덕(厚德)하였으며 어려서부터 부유한 집안의 습성(習性)이 없었다. 옛사람을 숭모하여 힘써 나아감에 세상에서 짝할 사람이 드물었고, 온 나라 사람들이 칭찬하였다. 행실이 항상 순박하고 부모에게 효성(孝誠)을 다하였고 여러 아우들을 사랑하여 종족(宗族)이 돈독(敦篤)하고 화기(和氣)가 항상 집안 가득하였다. 평소에 책 읽기를 좋아하였고 즐거운 마음으로 차기(箚記)하여, 의심나는 곳이 있으면 바로 써서 다시 읽고 검토하여 알 때까지 노력하였다. 차기가 쌓여 여러 권이 되었다. 여러 경전(經傳) 중에서 《논어(論語)》를 제일로 삼아서 경전(經傳)을 탐독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강설(講說)하였다. 그 뜻을 자주 시문(詩文)으로 남기고 만년(晩年)에도 글 쓰는 일이 변하지 않았다. 제헌(霽軒) 심정진(沈定鎭)은 매번 그를 당대 제일의 인물이라고 말하였다. 37세로 요절(夭折)하였다. 금슬이 좋았던 오윤상이 죽자 유인(孺人)은 성복(成服)을 마치고 물 한 모금 미음 한술도 먹지 않다가 죽었다. 저서로는 《영재유고寧齋遺稿》가 있다. 묘는 상록구 사사동의 문효공 해창위 취몽헌 오태주(文孝公 海昌慰 醉夢軒 吳泰周,1668∼1716) 묘에서 산업도로 건너편 큰 산이라고 부르는 곳에 있다. 묘갈의 비문은 현손 오정근(吳正根)이 찬(撰)하고, 글씨는 김영한(金甯漢)이 썼다. 오윤상의 처 김씨는 광산인 현령 김상성(金相聖)의 따님으로, 친정 아버지의 상을 치를 때 상복을 벗을때까지 지아비와 잠자리를 같이 할 수 없는 것이 예법에 맞는 것이다. 그러나 친정 아버지의 상복을 벗은 그날밤 오윤상이 부의의 처소에 들자 김씨부인이 잠자리를 거절하면서 말 하였다.
“비록 출가한 몸이라 3년간의 시묘살이는 할 수 없지만, 어찌 상복을 벗자마자 바로 지아비를 모실수 있겠습니까?” 영재 오윤상(寧齋 吳允常)은 그 말을 듣고 평생을 부끄러워하며 친한 사람에게 이야기를 하였다고 한다. 맹헌자(孟獻子)가 담제(禫祭)(3년상을 마치고 일상으로 돌아감을 알리는 제례)를 지낸 뒤에 부인과 잠자리를 같이 할 수 있는데도 침소에 들지않자, 공자가 그를 보통사람보다 한 등급 뛰어나다 여겼다고 한다. 이를 보면 오윤상 부인의 덕목을 알 수 있으며 영재 오윤상(寧齋 吳允常)은 끝내 자식이 없이 죽었는데 김씨부인이 남편을 따라 자결하자 조정에서 정문(旌門)을 세워주었다고 한다.
贈吏曹參議寧齋先生 海州吳公允常之墓 贈淑夫人光山金氏祔
증이조참의영재선생 해주오공윤상지묘 증숙부인광산김씨부
玄孫嘉義大夫 前宮內府特進官吳正根謹述
현손가의대부 전궁내부특진관오정근근술
後學通政大夫前秘書院丞安東金甯漢謹書
후학통정대부전비서원승안동김영한근서
辛巳三月 立 1941년 3월
이조판서 파운 오준영(坡雲 吳俊泳)의 증조부 증 이조참의 영재 오윤상(寧齋 吳允常) 묘역후경
//해주오씨 문효공파 증 이조참의 영재 오윤상(寧齋 吳允常) 가계//
고조부 형조판서 증 영의정 충정공 양곡 오두인(忠貞公 陽谷 吳斗寅,1624~1689)
증조부 문효공 해창위 취몽헌 오태주(文孝公 海昌慰 醉夢軒 吳泰周,1668∼1716)
조부 대제학 문목공 월곡 오원(文穆公 月谷 吳瑗, 1700~1740), 생부 군수 오진주(吳晋周)
부친 대제학 문정공 순암 오재순(文靖公 醇庵 吳載純,1727~1792)
동생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 문원공 노주 오희상(文元公 老洲 吳熙常,1763~1833)
동생 부제학 증 이조판서 약암 오연상(約庵 吳淵常,1765~1821)
증 이조참의 영재 오윤상(寧齋 吳允常,1746~1783)
배위 증 숙부인 광산김씨, 열부정려, 현령 김상성(金相聖)의 따님
자 상주목사 오치성(吳致成), 생부 문원공 오희상(文元公 吳熙常,1763~1833)
손자 증 이조판서 오홍선(吳弘善)
증손자 이조판서 파운 오준영(坡雲 吳俊泳, 1829~1894), 생부 오우선(吳友善)
배위 정부인 여흥민씨, 증 이조판서 민용현(閔龍顯)의 따님
배위 정부인 남양홍씨, 부사 홍종호(洪鍾浩)의 따님
현손 궁내부특임관 소파 오정근(小坡 吳正根,1868~1946),생부 오흥영(吳興泳)
배위 정부인 연안이씨, 판서 이도재(李道宰)의 따님
계배위 정부인 상주황씨, 황노정(黃魯正)의 따님
5대손 오봉환(吳鳳煥)
이조판서 파운 오준영(坡雲 吳俊泳)의 손자 오봉환(吳鳳煥)
안산-강령군수 한남 이복휴(漢南 李福休), 담촌 이복휴(澹村 李福休),통덕랑 이의진(李義鎭),통덕랑 이속(李涑),여주이씨 (0) | 2024.03.02 |
---|---|
안산-영의정 문간공 건암 김양택(文簡公 健庵 金陽澤) (3) | 2024.02.27 |
충주-충무공 이수일(忠武公 李守一)의 차남 예조좌랑 이용(李溶), 동림군 이진(東林君 李瑨) (0) | 2024.02.21 |
충주-충무공 은암 이수일 신도비(忠武公 隱庵 李守一 神道碑),충훈사(忠勳祠) (2) | 2024.02.19 |
충주-계림부원군 충무공 은암 이수일(鷄林府院君 忠武公 隱庵 李守一) (1) | 2024.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