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안공 낙안군 이녕(夷安公 樂安君 李寍)
경기도 광주시 능평동 산129
朝鮮國王孫 孝寧大君 4子 夷安公 嘉德大夫 樂安君墓所
조선국왕손 효령대군 4자 이안공 가덕대부 낙안군묘소
이안공 낙안군 이녕(夷安公 樂安君 李寍,1417태종17~1474성종5)
휘는 녕(寍)이고 자는 사안(士安)이며
효령대군 정효공 이보(孝寧大君 靖孝公 李補)와
예성부부인 해주정씨와의 4째 아들로 1417년 태종 17년에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조용하고 정중한 성품으로 세종대왕이 선비의 표상이라 칭찬하였으며,
효령대군은 부족함이 없는
내 집의 “안부자(공자의 수제자 안회(顏回)를 일컬음)라 하였다고 한다.
1430년 세종 12년에 13세의 나이로 낙안정(樂安正)에 제수되고
1432년 15세에는 정3품 통정대부 원윤(元尹)을 거쳐
1434년 17살에 종2품 가정대부 낙안군(樂安君)에 오르고
1441년 24세에 정3품 정의대부 낙안군이 되었다.
1453년 35세에는 정2품 승헌대부에 올라 문소전(文昭殿) 제조가 되었으며,
44세인 1460년세조6년에 종1품 가덕대부 낙안경(樂安卿)에 올랐다가
1472년 55세에 낙안군(樂安君)으로 환봉되었다.
1474년 57세로 졸하니 철조와 예장을 하였고 이안(夷安)이란 시호를 내렸다.
마음을 평안히 하여 고요함을 좋아함이 이(夷)요.
화목을 좋아하여 다투지 않음이 안(安)이다.
슬하에 1남 1녀를 두니 청원군 이목(淸原正 李霂)과
따님은 제정공 화봉 신효창(齊靖公 華峰 申孝昌) 손자인 평산인 목사 신윤종(申允宗)에게 출가하였다.
嘉德大夫樂安君 贈諡夷安公寍之墓 梁山郡夫人 彦陽金氏之墓
가덕대부낙안군 증시이안공녕지묘 양산군부인 언양김씨지묘
礼曹啓 綴朝礼葬 예조계 철조예장
吏曹啓 權念等口 이조계 권념등구
兵曹刷 水軍二百人葬之 병조쇄 수군이백인장지
封役有明朝鮮旺 太宗恭定大王子 孝寧大君子 樂安君成化十年甲午 七月二十七日葬
봉역유명조선왕 태종공정대왕자 효녕대군자 낙안군성화십년갑오 칠월이십칠일장
1474년 7월27일
이안공 낙안군 이녕의 제실 이안재(夷安齋)
경기도 광주시 창뜰아랫길 13-5,(능평동 270)
崇祖惇宗
숭조돈종
이안공 낙안군 이녕 신도비(夷安公 樂安君 李寍 神道碑)
경기도 광주시 능평동 317-1
嘉德大夫樂安君 贈諡夷安公神道碑
가덕대부낙안군 증시이안공신도비
낙안군 신도비문 해설
//전주이씨 효령대군파 이안공 낙안군 이녕(夷安公 樂安君 李寍) 가계//
조부 태종 이방원(太宗 李芳遠,1367~1422)
부친 효령대군 정효공 이보(孝寧大君 靖孝公 李補,1396~1486)
모친 예성부부인 해주정씨,1394~1470), 대제학 정도공 정역(貞度公 鄭易)의 따님
형님 의성군 호민공 이채(誼城君 胡敏公 李采,1411~1493)
형님 서원군 이친(瑞原君 李𡩁,1413~1475)
형님 보성군 이합(寶城君 李㝓,1416~1499)
동생 영천군 이정(永川君 李定,1422~ ?)
동생 원천군 이의(原川君 李宜,1423~1476)
이안공 낙안군 이녕(夷安公 樂安君 李寍,1417태종17~1474성종5)
배위 양산군부인 언양김씨(梁山郡夫人), 주부 김중행(金仲行)의 따님
자 청원정 이목(淸原正 李霂,1432~1515)
손자 금양부정 이경(金壤副正 李經,1467~1533)
녀 평산인 목사 신윤종(申允宗)
능평2통마을 유래
창(倉)뜰
조선 초기에 이곳에는 남한산성으로 가져가는
군량미를 보관하는 창고가 있었기 때문에 이 마을을 “창뜰”이라 부르게 되었다.
우렁바위
이곳 다리 아래에는 작은 폭포가 있던 곳 인데
폭포 밑에 있던 바위가 우렁이 같다 해서 우렁바위라 불렀다
자연경관이 좋아 영화 촬영장소로 많이 촬영된 경관이 뛰어난 곳이다.
현재는 유실되어 안타까움을 자아내는 곳이다.
능평2통 마을회
능곡 의병 전투지(陵谷 義兵 戰鬪址)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능평로 94일대
능곡 의병 전투지는 의병 부대가 일제 경찰관 수비대와 전투를 벌인 곳이다.
1908년 8월 31일 의병 20여 명이
광주 오포읍 능곡의 무명산에서 일제 경찰관 수비대와 교전을 벌였다.
이때 의병은 총 한 자루와 화약을 빼앗겼다.
또한 의병이 능곡에서 일본군과 교전한 사실은
같은 해 4월 4일에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오성초(吳成楚) 부대로 추정되는 의병 200여 명이
능곡에서 보병대와 교전한 뒤
판교 쪽으로 후퇴한 것으로 파악된다.
안산-개산 유석(皆山 柳碩),퇴당 유명천(退堂 柳命天),초원 유모(椒園 柳模),휴재 유경용(休齋 柳慶容),근재 유신(勤齋 柳賮) (2) | 2024.10.08 |
---|---|
안양-전 안양시의회 의장, 경기도의회 의원 김정묵(金定默) (0) | 2024.10.06 |
용인-문간공 담와 홍계희(文簡公 淡窩 洪啓禧) (3) | 2024.10.02 |
하동-안동김씨 익원공파 효소공계 기장현감 김봉상(金鳳祥)후 처사 김성정(金聖鼎) (0) | 2024.09.30 |
하동-은열공 강민첨 사적비(殷烈公 姜民瞻 事蹟碑), (3) | 2024.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