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서울-백범 김구, 백범기념관, 효창공원-사적 제330호

구름에 달

by 碧巖 2016. 8. 18. 23:49

본문

728x90

 

白凡金九백범김구

1876. 8. 29, 황해도 해주 ~1949. 6. 26, 서울

평생을 나라의 독립운동과 통일민족 국가건설을 위해 싸우다 간 인물이다.

일찍이 아버지가 집안에 세운 서당에서 글을 익히며 문리를 깨우쳤고

동학의 평등주의에 감화되어 민족현실에 눈을 떴다.

이후 일제의 탄압에 맞서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하며 

도산 안창호가 주도하는 신민회의 회원을 거쳐 19193·1운동이 일어나자 상해로 망명했다.

이때부터 대한민국의 임시정부를 실질적으로 이끌었다.

하지만 그의 통일조국건설의 열망은 광복 후 전개된 정치적 갈등과 국제정세의 흐름에 밀려 결실을 맺지 못했다. 신탁통치 반대와 남한만의 단독선거에 의한 정부수립 반대운동은 역부족이었다.

그는 하나 된 통일조국을 염원하다,

집무실인 경교장에서 안두희가 쏜 총탄을 맞고 서거했다.

 

 

사적(史蹟) 330호 효창공원(孝昌公園)  

 지정일 : 1989.   6.  8.      

 소재지 : 서울 용산구  효창동, 청파동2가 및 마포구 신공덕동,공덕동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몸바친 애국지사들의 유해를 모시는 곳이다.

원래는 효창원으로, 정조의 큰 아들인 문효세자

그의 어머니 의빈 성씨·순조의 후궁인 숙의 박씨·숙의 박씨의 자녀인 영온공주의 무덤이 있었다.

일제시대에 문효세자의 묘를 경기도 고양에 있는 서삼릉(西三陵)으로 옮기면서 효창원은 효창공원이 되었다.

광복 후에는 김구·이봉창·윤봉길,백정기,이동녕·차이석·조성환 등을 비롯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의 무덤를 모시게 되었으며, 매년 이 분들을 위한 제사를 지내고 있다.

무덤지역이 넓고 소나무숲이 울창하며, 무덤 주위로 산책로가 있다.

 

효창공원(孝昌公園)은 본래 조선조 (朝鮮朝) 22대 왕 정조(正祖)의 장자(長子)5세에 작고(作故)

문효세자(文孝世子)(정조6, 1782. 9 동왕(同王)10, 1786. 5, 동년(同年) () 7월장(月葬) )의 묘소(墓所)

즉 효창원 자리인데 그 후()이 경내(境內)

 문효세자(文孝世子)의 생모(生母)인 의빈성씨(宜嬪成氏)

(정조(正祖)10,1786. 9월장(月葬))와 순조(純祖)의 후궁(後宮)인 숙의박씨(淑儀朴氏)(철종(哲宗)5,

1854. 7월장(月葬)) 및 숙의박씨의 소생(所生) 영온옹주(永溫翁主)

(순조(純祖)29,1829. 5월장(月葬))를 안장(安葬)한 곳이다.

원래 고양군(高陽郡)율목동(栗木洞)이었던 효창원의 경역(境域)

 지금 효창동과 청파동(靑坡洞)일대에 걸치어 심히 넓고 소나무 밤나무 등 수림(樹林)이 울창(鬱蒼)하여

 매우 유수(幽邃)한 곳이었는데, 고종(高宗)31(갑오(甲午)1984) 청일전쟁(靑日戰爭)발발(勃發)직전(直前)

우리나라에 불법(不法)으로 침공(侵攻)

일군(日軍)의 주력부대(主力部隊)(대도혼성여단 (大島混成旅團))

지금의 효창운동장(孝昌運動場)남단(南端)의 솔밭에 주둔(駐屯)(야영(野營))함으로부터(5)

그 좋은 경관(景觀)이 허물어지기 시작하였다.

 

이어 일제(日帝)19246월에 효창원(孝昌園)의 일부(一部)를 떼어서 효창공원을 개발(開發)하고,

패망직전(敗亡直前)19453월에는 문효세자이하(文孝世子以下)의 상기(上記) 묘소(墓所)

모두 서삼릉(西三稜)(경기도(京畿道) 고양군(高陽郡)원당읍(元堂邑) 원당리(元堂里)) 경내로 천장(遷葬)함으로써

효창원은 사실상(事實上)종말(終末)을 고()하였다.

대망(待望)의 조국광복(祖國光復)과 더불어 환국(還國)

대한민국임시정부주석(大韓民國臨時政府主席) 김구(金九)선생(先生)

그 주도하(主導下)에 조국광복(祖國光復)을 위해 기꺼이 목숨을 바친

이봉창(李奉昌)(광무(光武)4, 19001932),

윤봉길(尹奉吉)(융희(隆熙)2, 19081932),

백정기(白貞基)(건양(建陽)1, 18961936)의사(義士)의 유해(遺骸)를 고국(古國)땅으로 모시어

19467월 효창공원의 중심지(中心地)(옛 문효세자 묘터)에 국민장(國民葬)으로 안장(安葬)함과 아울러

안중근(安重根)(고종(高宗)16, 1879융희(隆熙)4, 1910)의사의 ())()를 나란히 모셨다.

 

이어 19489월에는 중국 땅에서 순국(殉國)하신 임시정부(臨時政府) 의장(議長) 및 주석(主席)

이동녕(李東寧)(고종 6, 18691940)선생과

국무원비서장(國務院秘書長) 차이석(車利錫)(고종 18, 18811945)선생의 유해(遺骸)

군무부장(軍務部長)을 역임(歷任)하고 환국후(還國後) 서거(逝去)하신 조성환(曺成煥)(고종12, 18751945)선생을

공원 동남쪽 언덕에 안장하였다.

19496월에는 임시정부주석 백범(白凡) 김구(金九)(고종 13, 18761949)선생이

민족통일의 한()을 품고 흉탄(兇彈)에 쓰러지자 국민장(國民葬)으로 공원 서북쪽 언덕에 모시어

일대(一帶)가 선열묘역(先烈墓域)으로 화()하였다.

 

그러나 특히 김구선생의 묘소(墓所)가 이곳(서울시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그간 민족통일의 방책(方策)등에서 이견(異見)을 보이던

이승만영도하(李承晩領導下)의 당시 집권세력(執權勢力)에서 심히 못마땅하게 여기었고,

그리하여 선열묘소(先烈墓所)를 교외(郊外)로 옮기려는 움직임이 부단(不斷)하였는데,

그 일단(一端)으로 1959, 봄부터 제 2회 아세아축구대회유치(蹴球大會誘致)를 구실(口實)

묘소(墓所) 바로 앞에 효창운동장 개설(開設)을 추진(推進)하였다.

이에 독립투사(獨立鬪士) 심산(心山) 김창숙옹(金昌淑翁)등이 중심이 되어

효창공원선열묘소보존회(孝昌公園先烈墓所保存會)가 결성(結成)되고

언론사(言論社)를 비롯한 각계(各界)의 여론(輿論)이 비등(沸騰)하여 묘소이전(墓所移轉)은 보류(保留)되었지만,

효창운동장은 약 15만 그루의 나무와 숲속의 연못 및 섬까지 희생(犧牲)시키고 끝내 1960년에 개설(開設)되었다.

 

이러는 동안 6·25동란(動亂)으로 인()한 자연파손(自然破損)도 있고하여 효창공원,

특히 선열묘소(先烈墓所)일대(一帶)의 훼손(毁損)은 극()에 달()한 형편이었는데,

5·16혁명이후(革命以後) 또다시 선열묘소의 서오릉(西五陵)(경기도(京畿道) 고양군(高陽郡) 신도읍(神道邑) 용두리

(龍頭里))부근(附近) 이전(移轉)이 추진(推進)되었으나 역시 유족(遺族)과 사회각층(社會各層)의 반대로 보류(保留)되었다.

이같은 경로(經路)를 거쳐 1972년 서울시에서 효창공원 조경사업(造景事業)(묘지진입로 (墓地進入路)

석계단설치(石階段設置), 외곽주변정비(外廓周邊整備), 수림조성(樹林造成))10개년(十個年) 계획(計劃)으로

개시(開始)하는 동시(同時)에 일반인 (一般人)의 공원출입이 금지(禁止)되었으며

(이는 19816월 유료개방(有料開放) 때까지 계속),

19777월에는 건설부(建設部)에서 효창공원으로 고시(告示)하였다.

19783월에 이르러 효창공원순국선열추모위원회 (孝昌公園殉國先烈追慕委員會)

(발기(發起) 한국전통문화사상연구소장(韓國傳統文化思想硏究所長) 김재홍(金在鴻), 회장 곽상훈(郭尙勳))가 창립되고,

 이회 ()의 주관으로 다음해부터 임시정부수립일(臨時政府樹立日)

413일을 기()7위선열합동추모제(7位先烈合同追慕祭)가 매년 거행되게 되었다.

 

198412월에는 서울시의 협조(協助)로 각 묘소 앞의 묘표석(墓表石)을 신비(新碑)로 개수(改竪)하였다.

198812월부터는 그간 사당건립(祠堂建立)등을 꾸준히 청원(請援)

효창원순국선열추모위원회(孝昌園殉國先烈追慕委員會)의 활동과 이를 적극(積極) 수용(收容)

국가 최고영도층(最高領導層)의 지원(支援)으로 효창공원정비공사(孝昌公園整備工事)

정부주도하(政府主導下)에 본격적으로 추진(推進)되어 의열사(義烈祠)(사당(祠堂), 198911)

창열문 (彰烈門)(정문)이 건립되고 묘역확장(墓域擴張)과 정비(整備)가 대충 마무리되게 되었으며

19896월에는 사적(史蹟) 330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효창공원에는 선열묘소 외 공원관리소 , 어린이놀이터, 정구장(庭球場)

편의시설과 북한반공투쟁사위령탑(北韓反共鬪爭士慰靈塔), 원효대사동상(元曉大師銅像),

대한노인회중앙복지회관(大韓老人會中央福祉會館)등이 자리잡고 있다.

 

 

 

 

 

 

 

 

 

 

 

 


백범김구기념관(白凡金九記念館)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인 백범 김구(1876~ 1949)를 기념하기 위해서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 255번지(임정로 26)에 건립된 박물관이다.

20021022일에 기념관을 개관하였으며,

200812월에 백범기념관에서 백범김구기념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4986

백범 김구의 유지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서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회가 설립되었다.

1996130

백범김구선생시해진상규명위원회에서 기념관 건립을 제안하였고,

1998123

김대중 대통령이 기념관 건립 지원을 약속한다.

1998430

()백범기념관건립위원회가 발족하여서,

199983

백범기념관 건립기금 모금 운동을 전개하였다.

2000626일에 기공식을 가졌고,

20021022일에 개관하였다.

200812월에 백범기념관에서 백범김구기념관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백범김구기념관의 전시관은

1층과 2층으로 나누어 김구의 어린시절부터 서거까지의 행적을 따라 관련 유물을 배치하였다.

전시관 1층의 중앙홀에는 김구의 좌상이 놓여있다.

 

 

 

 


 

 

 

 

 

 

 

 

 

 

 

 

 

 

  

 

 

 

 

벽암 두릉연가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