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안성-경순수 장군, 청주경씨,경득, 경수충,경윤,경세흘,경조,경유근

구름에 달

by 碧巖 2016. 10. 16. 20:12

본문

728x90


同知義禁府事 慶舜壽 墓域 동지의금부사 경순수 묘역,   안성시 대덕면 무릉리 산2

2016년 8월 14일 촬영하여 벌초전이라 묘역에 잡초가 무성하여 씁쓸함에

淸州慶氏 積城公派 先代墓域

청주경씨 적성공파 선대묘역

慶世仡墓域 경세흘묘역

               進士慶公世仡之墓 配宜人固城李氏祔左                   子 慶胤경윤

               진사경공세흘지묘 배의인고성이씨부좌




후경

=======================================================================================================================================================


胤 墓域 경윤묘역



              左通禮慶公胤之墓  配淑人平山申氏祔左           子 慶守忠경수충

              좌통예경공윤지묘  배숙인평산신씨부좌




=======================================================================================================================================================


慶守忠墓域 경수충묘역

     贈刑曹參議行司憲府監察慶公守忠之墓  配淑人延安李氏祔左        子 慶得

     증형조참의행사헌부감찰경공수충지묘  배숙인연안이씨부좌




======================================================================================================================================================


得 墓域 경득 묘역


  贈戶曹參判兼都摠府副摠管行將仕郞慶公得之墓  配貞夫人驪興閔氏祔左     子 慶舜壽

  증호조참판겸도총부부총관행장사랑경공득지묘  배정부인여흥민씨부좌






=======================================================================================================================================================


同知義禁府事 慶舜壽墓域 동지의금부사 경순수묘역

慶舜壽 (경순수: 1582~1645) 선생

 

조선 인조(仁祖) 때 문신으로 本貫淸州, 성노(聖老),

사헌부 감찰 경수충(慶守忠) 선생의 손자이며

증 호조 참판 경득(慶得) 선생의 아들이며

영의정 민복(閔福) 선생의 외손(外孫)으로 안성군 대덕면 무릉리에서 출생하여 성장하였다.

 

어려서부터 학문적인 재질이 있어 1605(선조 33)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헌납,교서관 등 주로 내직을 역임하명서 왕을 보필하였다.

이괄의 난이 일어나 한양(漢陽)이 함락될 위기에 처하자

공주의 쌍수 산성(雙樹山城)으로 임금을 호종하여 2등 공신에 책록되고,

16369인조 14)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인조를 남한 산성(南漢山城)에 피신토록 호종하였다.

 

이 때 조정 대신 간에 주전론과 주화론이 대립하고 있을 때

그는 현실 타개책으로 최명길(崔鳴吉) 선생 등과 같이 주화론(主和論)을 지지하고

청국과 강화된 후 1등 공신에 책록 되었으며,

1637년에 춘천 부사, 1638년 풍천 부사로 재임하며 전란의 피해 복구에 노력하였고,

만년에 고향으로 내려가 학문 정진(學問 精進)에 노력하였다.,




가계도

六代祖  慶由謹 贈 承政院左丞旨 경유근 증 승정원 좌승지 (1408(태종 8)1480(성종 11))

五代祖  慶祚 通訓大夫儀賓府都事 경조 통훈대부 의빈부도사(도사공파 파조)

高祖父  慶世仡 進士 경세흘 진사

曾祖父  慶胤 左通禮 경윤 좌통예

   祖父  慶守忠 司憲府監察慶 경수충 사헌부감찰

      父  慶 得 贈戶曹參判 경득 증호조참판

           慶舜壽 同知義禁府事 경순수 동지의금부사 (1582~1645)

      子  慶翔龍 積城縣監경상용 적성현감(적성공파 파조), 慶翼龍경익용



          同知義禁府事慶公舜壽之墓  配貞夫人坡平尹氏祔左             子 慶翔龍경상용,慶翼龍경익용

          동지의금부사경공순수지묘  배정부인파평윤씨부좌

 



淸州慶氏


충청북도 청주에 본관을 둔 성씨.


시조는 청주인 경진(慶珍)으로 고려 명종 때에 중서시랑평장사를 지냈으며


그 아들인 경대승(慶大升)은 청렴한 인물로 장군이 되어


정중부의 횡포정치를 제압하고 쇄신정치를 하였다.

 

 

 

청주경씨의


1()는 경번(慶蕃)으로 고려 고종조에 문과에 올라 호부상서평장사에 이르고 청주에 세거하였으며

 

2세는 경수(慶綏)로 통례문사를 지내고


3세인 경사만(慶斯萬)은 우대언(右代言)이었고


4세 경복흥(慶復興)은 벼슬이 문하시중에 오르고 청원부원군(淸原府院君)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청주를 본관으로 삼았다.

 

 

청주경씨의 후손들은 21개 분파를 형성하여 전국에 분포하였으며,

 

청주 근교의 세거지는 다음과 같다.

 

징군파(徵君派)는 괴산군 청안면,


서봉공파(西峯公派)는 청원군 문의면,


월송공파(月松公派)는 충주,


적성공파(積城公派)는 음성군,


경역공파(經歷公派)는 청주,


아산공파(牙山公派)는 청주·충주,


낭성군파(浪城君派)는 충주,


보성공파(寶城公派)는 괴산군 연풍면이다.

 

 

청주경씨는 단본으로


고려시대에 경대승을 비롯하여


경유, 경사만, 경복흥(慶復興)[?~1380], 경보(慶補), 경의(慶儀) 등이 있고,


조선시대에도 경준, 경세창, 경수공, 경혼, 경섬, 경취 등 14명의 문과 급제자를 냈으며


충효와 절의의 인물을 배출한 가문이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