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예산-영의정 정헌공 급류정 김흥경(靖獻公 急流亭 金興慶), 추사 김정희 고조부

구름에 달

by 碧巖 2016. 10. 10. 23:01

본문

728x90

 

 

 영의정 정헌공 급류정 김흥경(靖獻公 急流亭 金興慶)묘역

 

 

 

 

본관은 경주(慶州). 자유(子有숙기(叔起),   급류정(急流亭).  서산 출생.

 

//경주김씨 영의정 정헌공 급류정 김흥경(靖獻公 急流亭 金興慶) 가계//

증조부 황해도관찰사 문정공 김홍욱(文貞公 金弘郁)

   조부 금정도찰방 증 좌찬성 김세진(金世珍)

   부친 봉사 증 영의정 김두성(金斗星, 1643~1688)

   모친 광주김씨 참봉 김영후(金榮後)의 따님

           영의정 정헌공 급류정 김흥경(靖獻公 急流亭 金興慶, 1677~1750)

           배위 정경부인 창녕황씨, 황하영(黃夏英)의 따님

                   장남 첨절제사 파도와 김한정(把陶窩 金漢禎, 1702~1764)

                   배위 증 정부인 반남박씨, 형조, 공조, 예조판서 금원군 장익공 노주 박사익(錦原君 章翼公 鷺洲 朴師益)의 따님

                           손자 문화현령 증 좌찬성 김태주(金泰柱, 1720~1776)

                           배위 증 정경부인 한산이씨, 부제학 이덕중(李德重)의 따님

                           계배 증 정경부인 연안이씨, 이명상(李命商)의 따님, 동지중추부사 이사태(李思泰)의 손녀

                                   증손자 김노직(金魯直)

                                               현손 덕산,단양,김제군수 김석희(金錫喜)

                                               현손 양천현감 김돈희(金敦喜)

                                   증손자 증 영의정 김노익(金魯翼)

                                               현손 좌의정 효헌공 김도희(孝憲公 金道喜)

                                   증손자 병조판서 정헌공 김노응(正憲公 金魯應)

                                               현손 병조참판 김덕희(金德喜)

                                   증손자 진천현감 김노광(金魯廣)

                                               현손 부사과 김규희(金奎喜)

                          손자 돈녕부사 김항주(金恒柱), 출계 종숙부 증 이조참판 김한익(金漢翊)

                          손자 형조판서 김이주(金頤柱), 출계숙부 월성위 정효공 김한신(月城尉 金漢藎)

                          손자 신계현령 김건주(金健柱)

                                  증손자 김노선(金魯善), 김노송(金魯誦)

                                  증손자 나주목사 김노종(金魯鍾)

                  차남 김한좌(金漢佐, 1708~1741)

                  삼남 월성위정효공김한신(月城尉 貞孝公 金漢藎, 1720~1758),화순옹주(和順翁主)

                           손자 형조판서 김이주(金頤柱, 1730~1797) 생부파도와 김한정(把陶窩 金漢禎)

                                   증손자 예조참판 김노영(金魯永)

                                               현손 완당 김정희(阮堂 金正喜, 1786~1856), 생부유당 김노경(酉堂 金魯敬)

                                   증손자 수원판관 김노성(金魯成)

                                   증손자 비서승 김노명(金魯明)

                                   증손자 이조판서 유당 김노경(酉堂 金魯敬, 1766~1838)

                                               현손 완당 김정희(阮堂 金正喜, 1786~1856)

                                                        서5대손 김상우(金商佑, 1817~1884)

                                                        적5대손 김상무(金商懋, 1819~1865), 입적, 생부 김태희(金泰喜)

 

           

 

 

 

1699(숙종 25)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검열·주서·정언·부교리·집의·승지·대사간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경종 때 한성부우윤 재직시 1721(경종 1)신임사화에 관련되어 파직되었다가,

1724년 영조의 즉위로 도승지가 되었고, 이듬해 우참찬으로 동지사(冬至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1727(영조 3) 정미환국으로 소론 이광좌 등이 집권하자 한성부판윤에서 밀려났다가

이듬해 우참찬으로 복직된 후영조의 탕평책(蕩平策)에 반대하여 다시 파직되었다.

1730년 좌참찬에 복직되고 이조판서와 우의정을 거쳐 1735년 영의정을 지낸 후 기로소에 들어가고,

판중추부사로 치사하여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諡號는 정헌(靖獻)이다.


 

 

 

 

벽암두릉연가

 

 

 

 

 

 

 

김흥경(金興慶:1677~1750)-탕평책을 반대한 영조의 사돈

영조11(1735) 영의정에 오른 김흥경은 본관이 경주, 참봉 김두성(金斗星)의 아들로,

오늘날의 충청남도 서산에서 태어났는데,

그는 조선조에 들어와 경주김씨 가문을 명문으로 올려 놨던 황해도관찰사 김홍욱(金弘郁)의 증손이었다.

김흥경의 증조부 김홍욱은 조정에서 자주 새 바람을 일으킨 주목 받는 신하였다.

그는 병자호란 때 검열 겸 설서로 비록 직위는 낮았으나 인조를 남한산성으로 호종하는 대열에 참여,

강경론을 펼쳐 주변의 시선을 끌었고,

당진현감으로 나가서는 상급자인 충청감사와 사이가 틀어져 미련 없이 관직을 버린 올곧은 청환(淸宦)이었으며,

다시 이조좌랑에 발탁 되어 인사권을 장악 했을 때,

그때의 권신 김자점(金自點)과 틈이 생겨 또 자리를 박차고 나와 버렸다.

곧 홍문관응교(應敎)로 복직하여서는, 관기(官紀)와 전제(田制), 공물방납(貢物防納) ,

백성들에게 부담을 주는 일들을 시폐(時弊)15개조로 묶어 바로 잡을 것을 상소하였고,

홍충도(洪忠道)관찰사로 나가서는 대동법시행으로 백성들의 부담을 가볍게 해주려 애를 썼다.

효종5(1654) 김홍욱은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는데,

느닷없이 8년이나 지난 옛 사건인 소현세자빈 강씨(姜氏)의 사사(賜死)를 들먹여,

그녀의 억울함을 달래 주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려 효종임금의 분노를 샀다.

이는 세자빈 강씨의 시동생인 효종의 흠집을 해작거린 지경이었기에,

김홍욱은 격노한 임금의 친국을 받다가 몽둥이에 맞아 숨지고 말았다.

나이 53, 이때 김홍욱은 숨을 몰아 쉬며 언론을 가지고 살인하여 망하지 않는 나라가 있었는가?”하고 기염을 토했다.

이 일이 후세에 큰 감명으로 남아 전하니.

뒤에 숙종이 감동하여 그를 이조판서에 추증하고 문정공(文貞公)으로 시호까지 내렸으며,

경종때는 서산에 성암(聖巖)서원을 세워 제향하도록 했다.

김홍욱의 아들 김세진(金世珍), 손자 김두성은 명신의 아들과 손자로 대접받아

음직으로 각각 찰방, 참봉 벼슬을 지냈는데,   곧 김흥경의 할아버지와 아버지였다.

 

 

 

숙종25(1699), 김흥경은 23세 때 문과에 올라, 예문관검열로 관직을 시작하였다.

이어 주서·정언·부교리·집의·승지 등, 청환직을 두루 거쳐 대사간에 올랐다.

당파로 노론에 속했던 김흥경은, 한성부우윤이 되었으나,

숙종이 죽고 경종이 즉위하자세력을 잡은 소론에 의해 그만 파직 되고 말았다.

그러나 1724년 경종이 일찍 요절하고 영조가 즉위하자

노론이 권력을 회복, 김흥경은 도승지에 발탁 되니 요즘으로쳐 대통령실장에 오른 셈이었다.

이듬해 두 품계를 더 뛰어 의정부 정2품 우참찬이 되고, 한성부판윤으로 나갔다가,

영조3(1727)에 터진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정권을 되찾으니 그만 관직에서 밀려나고 말았다.

이듬해 김흥경은 우참찬으로 복귀 했는데, 이번에는 영조의 야심찬 탕평책을 극구 반대하다가 결국 파직에 이르렀고,

영조6(1730) 이번에는 좌참찬으로 승차 복직하여, 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에 오르고 곧 영의정이 되었다.

이 무렵(영조8) 김흥경의 아들 김한신(金漢藎)이 영조의 딸 화순(和順)옹주와 혼인, 월성위(月城尉)에 봉해지니,

그전에 김한신과 8촌간인 김흥경의 7촌 조카 김한구(金漢?)의 딸이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였기에,

그들 가문은 진작부터 왕실의 척족이었는데다, 다시 영조와 겹사돈을 맺은 셈이 되었다.

이런 배경으로 비교적 오랜 기간 국정최고의 직위를 누린 김흥경은,

영의정으로 나이 70세에 이르러 기로소에 들었다가,

판중추부사를 끝으로 벼슬에서 벗어나 봉조하로 국가 원로 대접을 받았다.

봉조하는 관직을 그만 두고도 봉록은 그대로 지급받는 직위라,

유유자적하던 김흥경은 영조26(1750) 74세 나이로 눈을 감았다.

시호는 정헌공(靖獻公),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 용궁리에 묘소가 있다.

영조의 부마로 김흥경의 아들이었던 김한신은 관직이 오위도총부도총관이었는데,

특별히 궁중의 포화(布貨)와 염직(染織)을 총괄하는 제용감의 총수 제용감제조(濟用監提調)까지 겸하였는데,

그만 39세 젊은 나이로 요절하고 말았다. 그는 키가 크고 준수한 인물에 총명하기까지하여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글씨를 잘 써 애책문(哀冊文시책문(諡冊文) 등을 많이 썼고,

전각(篆刻)에도 솜씨가 있어 인보(印寶)를 새기기도 하였다.

아까운 인물 김한신을 잃자 그의 아내 화순옹주도 자결로 절의를 지키니, 임금 영조는 친히 열녀문을 세워 주었다.

김한신의 아들 김이주()는 김흥경의 손자이며, 영조의 외손자로 관직이 우참찬에 이르렀는데,

슬하에 노경(魯敬:이조판서노영(魯永:병조참판노응(魯應:병조판서노익(魯翼)이 있었고,

그들 아래에서 문신이며 학자요 서화가로 이름을 날린 김정희(金正喜:이조판서),

헌종때 좌의정 김도희(金道喜) 등 걸출한 인물들이 나왔으니, 모두 김흥경의 후손이며 영조의 외손들이었다 

 

 

 

 

 

 

 

 

 

 

 

 

 

 

 

 

 

 

 

 

 

 

 

 

 

 

 

 

 

 

 

 

 

 

 

 

 

 

 

 

 

벽암 두릉연가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