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선생비(四 先 生 碑)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 정암3리 504, 덕고마을 입구
백곡 정곤수 鄭栢谷 崑壽 정백곡 곤수
한강 정구 鄭寒岡 逑 정한강 구
은은당 조린 趙隱隱堂 遴 조은은당 린
송호 조정립 趙松湖 正立 조송호 정립
鄭 栢谷 崑壽 정 백곡 곤수(1538~1602)
백곡 정곤수(栢谷 鄭崑壽)
1538(중종 33)∼1602(선조 3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초명은 규(逵). 字는 여인(汝仁), 號는 백곡(栢谷)·경음(慶陰)·조은(朝隱).
곤수는 선조의 하사명이다. 성주(星州)에 향촌적 기반을 두었다.
증 이조판서 정윤증(鄭胤曾)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부사직 정응상(鄭應祥)이고,
아버지는 부사맹 정사중(鄭思中)이며,
어머니는 성주 이씨(星州李氏)로 이환(李煥)의 딸이다.
종백부(從伯父)인 대호군 정승문(鄭承門)에게 양자로 들어갔다.
1593년 원병을 얻어온 공로로 숭정대부에 오르고 판돈녕부사가 되었다.
이즈음 영위사(迎慰使)·접반사(接伴使)를 맡아 명나라 장수와의 교섭을 담당하였다.
같은 해 거듭 보국숭록대부에 오르는 상을 받고 판의금부사가 되었다.
1595년 도총관·예조판서, 1596년 좌찬성을 역임하고,
1597년 판의금부사·도총관 등을 겸하고 사은 겸 변무진주사(謝恩兼辨誣陳奏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601년 선조를 호종한 원훈으로 이항복(李恒福)과 함께 녹훈되었다.
1604년 호성공신(扈聖功臣) 1등에 녹훈되었으며 서천부원군(西川府院君)에 추록되었다.
성주의 유계서원(柳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백곡집』 4권 4책이 규장각 도서에 전한다.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諡號는 충민(忠愍)이었다가 충익(忠翼)으로 바뀌었다.
특히, 1583년 강원도 觀察使로 재직하면서 端宗의 陵인 영월의 魯陵에 祠廟를 세우고 位版 奉安하였다.
鄭 寒岡 逑 정 한강 구(1543~1620)
한강 정구(寒岡 鄭逑)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
철산군수 정윤증(鄭胤曾)의 증손으로,
할아버지 사헌부감찰 정응상(鄭應祥)이고,
아버지 김굉필(金宏弼)의 외증손으로 충좌위(忠佐衛) 부사맹(副司孟) 정사중(鄭思中)이며,
어머니 성주이씨(星州李氏)로 이환(李煥)의 딸이다.
6대조 정총(鄭摠)과 그 아우인 정탁(鄭擢)이 개국공신에 책봉되는 등
본래 공신가문으로 대체로 한양에서 살았으나 부친이 성주이씨와 혼인하면서 성주에 정착.
둘째 형인 정곤수(鄭崑壽)는 문과에 급제해 병·형조 참판, 의정부좌찬성 등 관직을 지낸 관리.
5세에 이미 신동으로 불렸으며 10세에 『대학』과 『논어』의 대의를 이해하고,
13세인 1555년 성주향교 교수인 오건(吳健)에게 역학을 배웠는데
건(乾)·곤(坤) 두 괘(卦)만 배우고 나머지 괘는 스스로 유추하여 깨달았다 한다.
1563년에 이황(李滉)을, 1566년에 남명 조식(曺植)을 찾아 스승으로 삼았으며,
그 무렵 성운(成運)을 찾아 뵙기도 하였다.
1563년 향시(鄕試)에 합격했으나 이후 과거를 포기하고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다.
1573년(선조 6) 김우옹(金宇顒)이 추천해 예빈시참봉(禮賓寺參奉)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는 등
여러 번 관직에 임명되어도 사양하다가 1580년 비로소 창녕현감(昌寧縣監)으로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1584년 동복현감(同福縣監)을 거쳐,
이듬해 교정청낭청(校正廳郎廳)으로 『소학언해』·『사서언해』 등의 교정에 참여하였다.
1592년 通川郡守로 재직중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다.
1593년 선조의 형인 하릉군(河陵君)의 시신를 찾아 장사를 지낸 공으로
당상관으로 승진한 뒤 우부승지, 장례원판결사·강원도관찰사·형조참판 등을 지냈다.
전체적으로 중앙 관직보다는 지방의 수령으로 더 많이 활약하였다.
1603년 『남명집(南冥集)』을 편찬하는 과정에서
정인홍(鄭仁弘)이 이황과 이언적(李彦迪)을 배척하자 그와 절교하였다.
1608년(광해군 즉위년) 임해군(臨海君)의 역모사건이 있자
관련자를 모두 용서하라는 소를 올리고 대사헌직을 그만두고 귀향하였다.
1613년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영창대군(永昌大君)을 구하려 했으며,
1617년 폐모론(廢母論) 때에도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서인(庶人)으로 쫓아내지 말 것을 주장하였다.
이를 계기로 만년에 정치적으로 남인으로 처신하지만 서경덕(徐敬德)·조식 문인들과 관계를 끊지 않았기 때문에
사상적으로는 영남 남인과 다른 요소들이 많았으며, 뒤에 근기남인 실학파에 영향을 주었다.
문인으로는 서사원(徐思遠)·송원기(宋遠器)·손처눌(孫處訥)·한준겸(韓浚謙)·문위(文緯)·장흥효(張興孝)·
이윤우(李潤雨)·허목(許穆)·황종해(黃宗海) 등이 있다.
학문은 성리학과 예학뿐만 아니라
제자백가·역사·산수(算數)·병진(兵陳)·의약(醫藥)·복서(卜筮)·풍수지리 등 여러 방면에 걸쳐 박학하였다.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어 1573년『가례집람보주(家禮輯覽補註)』를 저술한 이래
『오선생예설분류(五先生禮說分類)』·『심의제조법(深衣製造法)』·『예기상례분류(禮記喪禮分類)』·
『오복연혁도(五福沿革圖)』 등 많은 예서를 편찬했으며,
이황의 예에 관한 서신을 모은 『퇴계상제례문답(退溪喪祭禮問答)』을 간행하기도 하였다.
선생이 저술한 글로는 심경발휘(心經發揮)ㆍ관의(冠儀)ㆍ혼의(婚儀)ㆍ장의(葬儀)ㆍ계의(禊儀)ㆍ
오선생예설(五先生禮說)ㆍ갱장록(羹墻錄)ㆍ성현풍범(聖賢風範)ㆍ고금충모(古今忠謨)ㆍ수사언인록(洙泗言仁錄)
ㆍ오복연혁도(五服沿革圖)ㆍ심의제도(深衣制度)ㆍ무이지(武夷志)ㆍ곡산동암지(谷山洞庵志)ㆍ와룡지(臥龍志)ㆍ
역대기년(歷代紀年)ㆍ고문회수(古文會粹)ㆍ경현속록(景賢續錄)이 있는데, 본가에 소장되어 있다.
인조반정 직후인 1623년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1625년 문목(文穆)의 諡號를 받았다.
성주회연서원(檜淵書院)·천곡서원(川谷書院), 칠곡 사양서원(泗陽書院), 창녕 관산서원(冠山書院),
충주 운곡서원(雲谷書院), 현풍 도동서원(道東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趙 隱隱堂 遴 조 은은당 린(1542~1627)
은은당 조린(隱隱堂 趙遴)
1542(중종 37)∼1627(인조 5). 조선 중·후기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 字는 중겸(仲謙), 號는 은은당(隱隱堂).
사과(司果) 조철수(趙哲守)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평양부서윤 조준(趙俊)이고,
아버지는 제용감부정 조응세(趙應世), 어머니 지중추부사 노공좌(盧公佐)의 딸
1568년(선조 1) 사마시에 합격하고, 1587년 사포서별제를 거쳐
의금부도사·전생서주부·사헌부감찰·연천현감 등을 거쳐
1614년(광해군 6) 간신들의 전횡이 심하고 폐모론이 일어나
이원익(李元翼)·홍무적(洪茂績) 등이 쫓겨나 귀양가게 되자 섬강(蟾江)에 은퇴하였다.
배를 타고 한양을 떠날때 서책과 기르던 학을 싣고 가므로 사람들은 그를 신선처럼 여겼다고 한다.
1623년 인조반정 뒤 평시서영에 등용되고 이어 장악원첨정이 되었는데,
이 때 나이 80이 지나 통정계(通政階)에 올랐다.
김효원(金孝元)·이경중(李敬中)과 한 동네에 살며 깊이 사귀었는데,
사람들이 그들을 평하기를,
김효원은 백옥무진(白玉無塵: 흰 옥에 티끌하나 없음),
이경중은 설월교휘(雪月交輝: 달빛에 비친 눈처럼 빛남),
조린은 춘풍해빙(春風解氷: 봄바람이 얼음을 녹임)과 같은 성품을 지녔다고 하였다.
趙松湖 正立 조송호 정립 (1560~1612)
송호 조정립(松湖 趙正立)
본관은 횡성(橫城). 字는 여직(汝直), 號는 송호(松湖).
평양서윤 조준(趙俊)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제용감부정 조응세(趙應世)
아버지는 사포서별제 조진(趙進), 어머니는 좌통례 김진(金鎭)의 딸이다.
1589년(선조 22) 진사가 되고, 1591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를 거쳐 박사에 이르렀으며,
그 뒤 전적·정언·예조좌랑·수찬·지평·보덕·사간·사인 등을 역임하였다.
광해군 때에는 응교·집의·사성 등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취임하지 않았다.
1598년 진주사(陳奏使)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광해군 초 사간에 임명되어 사직하면서는 8조의 소(疏)를 올려 시무(時務)를 논하기도 하였다.
1612년(광해군 4) 김직재(金直哉)의 옥사가 일어나자,
관직에 나가지 않은 것이
김직재의 일당인 때문이라는 의심을 받아 부득이 직제학에 취임하였으나 곧 병이 악화되어 졸하였다.
정경세(鄭經世)·한백겸(韓百謙) 등과 친교를 맺고 학문을 닦았다.
위 네 사람의 功績을 기리기 위해 세운 碑로 원래 강원도 횡성 군 공근면 매곡리와 수백리 합수 지점에 있었던 것을
1922년 橫城 趙氏 門中에서 현재 위치로 移建하였다.
백곡 정곤수 鄭栢谷 崑壽 정백곡 곤수
한강 정구 鄭寒岡 逑 정한강 구
은은당 조린 趙隱隱堂 遴 조은은당 린
송호 조정립 趙松湖 正立 조송호 정립
횡성-상장군 문정공 조충(趙冲), 조충장군 묘소, 횡성조씨 (0) | 2017.11.20 |
---|---|
횡성-세덕사(世德祠),문경공 조영인, 문정공 조충, 광정공 조계순, 횡성조씨 (0) | 2017.11.20 |
산청-남사 예담촌, 월강고택, 남사리 최씨고가 (0) | 2017.11.19 |
산청-계재 정재용 사양정사(溪齋 鄭濟鎔 泗陽精舍),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53호 (0) | 2017.11.19 |
산청-남명 조식 덕천서원(德川書院). 사적 제305호 (0) | 2017.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