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사 淨水寺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용운리 8,(정수사길 459)
사천왕문
범종각
정수사 淨水寺
강진 천태산 자락에 자리 잡고 있는 정수사는
통일신라 때인 800년(애장왕 1)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사찰이다.
사찰을 중심으로 양쪽에 계곡이 있어 창건 당시 쌍계사(雙溪寺)라고 이름 지었다.
그러나 중세에 이르러 원인 모를 화재로 사찰 건물이 소실되고 한동안 폐허 상태로 있던 것을
1579년 성운 스님이 중창했다.
그 후 이곳의 물이 유난히 맑고,
맑은 기운이 사찰에 깃들어 있다고 하여 1622년에 사찰의 이름을 정수사(淨水寺)로 개명했다.
삼청루
정수사 대웅전과 석탑
정수사는 임진왜란 때 200여 명의 승병들이 상주하면서 일본군과 맞서 싸우고 기도했던 호국사찰이다.
정수사 산문(山門) 밖은 임진왜란의 격전지로서
일본군이 구십포에 상륙했을 때 염걸장군등이 적군을 이곳 정수사 골짜기로 유인하여 섬멸한 전적지이자
나라를 위해 전투에 참가했던 의병·승병들을 수용했던 충절의 혼이 깃들어 있는 호국의 도량이다.
임진왜란 이후 퇴락의 길을 걷다가 6·25전쟁 때 다시 사찰의 상당 부분이 소실되었다.
큰 규모의 사찰이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소실되고
대웅전, 요사채, 이름 없는 고려 도공들의 위패를 모신 도조사(陶祖祠), 응진당 등 소규모 건물만 남아 있다.
정수사 사사자 삼층석탑
강진 정수사대웅전(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1호)
정수사 대웅전은 절의 중심에 있는 법당으로 석가모니를 모시고 있으며 4번에 걸쳐 수리한 기록이 있다.
앞면 3칸·옆면 2칸의 겹처마로 가장 단순한 맞배집으로 자연석 기단 위에 기둥을 세웠으며,
지붕 처마를 받치는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 양식이다.
내부에는 중앙 뒤쪽에 불단이 있으며, 천장에는 불화가 그려져 있다.
건물은 대체로 소박한 편이며, 공포의 조각수법이나 단청 등에서 조선 중기의 건축 양식을 볼 수 있다.
외부 단청은 거의 남아 있지 않으나 내부에는 무늬 일부가 잘 남아 있었으나
최근에 들어 단청을 하여 옛스런 멋이 사라지고 없는게 아쉽다고 한다.
강진 정수사 석가여래삼불좌상(보물 제1843호)
강진 정수사 석가여래삼불좌상은
목조좌대에 쓰여진 묵서를 통하여 향좌측의 소조불좌상이 조선시대 1561년에 조성되었고,
중앙과 향우측의 목조불좌상이 조선시대 1648년에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향좌측의 소조불좌상은 묵서에 따르면,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조각승 태보(太宝)와 사담(思淡)에 의해 1561년에 조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다시 1648년에 화원 승일(勝日) 등 7명의 조각승에 의해
중앙과 향우측의 불상이 조성될 때 다시 중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존불은 화원 승일 등 7인에 의해 1644년에 조성되었고 1722년에 화원 태원(太元) 등 5인이 개금하였다.
복장에서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卷終》과 「觀世音菩薩寶篋手眞言」, 《法華經》등이 조사되었다.
향우(向右) 불상은 본존불과 같이 화원 승일 등 7인에 의해 1644년에 조성되었다.
대법당 삼존불은 화원 계심(戒心)을 비롯해 16인의 장인들이 1779년 중수개금하였다.
비록 석가여래삼불좌상 중 1존이 나머지 2존과 조성 시기가 다르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조성 양상마저
당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등 시대적인 상황을 반영하는
불상 조성 방식의 일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향좌측의 소조불좌상이 일부 보수되긴 하였지만,
전체적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조선시대 불교미술연구에 있어서 기준작이 된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강진 정수사 도조사陶祖祠
고려시대 청자를 굽던 옛 도공들의 위패를 모셨다.
정수사는 고려시대 청자문화의 전성기에 청자를 굽던 도공들에게
심신의 피로를 풀어주고 선지식(禪知識)을 수백 년에 걸쳐 전해주던 공간이다.
도공들이 자주 찾아와 부처의 자비로움 속에서 정신 수양을 하고
마음을 닦아 깨끗한 마음으로 신비의 청자를 만들 수 있도록 기도를 올리던 정신적 귀의처였다.
강진군 대구면 고려청자 도요지에서 3킬로미터 정도의 가까운 거리에 정수사가 자리하고 있다.
천불전
강진장흥-사인정설암김필, 영광김씨, 백범김구 제일강산, (0) | 2018.06.11 |
---|---|
강진-퇴은당 염걸(退隱堂 廉傑),정헌공 염서(貞軒公 廉瑞),절재공 염경(節齋公 廉慶),동재공 염홍립(剛齋公 廉弘立),임란사충 전적비,운계 천기대사 의적비 (0) | 2018.06.10 |
강진-강진만康津灣 (0) | 2018.06.10 |
해남-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 유적지 ,기념관 (0) | 2018.06.08 |
해남-어초은윤효정 漁樵隱尹孝貞어초은공 묘소, 윤광효, 해남윤씨 영부 광주이씨 규한록 (0) | 2018.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