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시흥-연당공 하우명蓮塘公河友明, 하우명 효자정려,호군공 하철석護軍公河哲石

구름에 달

by 碧巖 2018. 10. 14. 21:14

본문

728x90


연당공하우명蓮塘公河友明

본관은 진주(晉州). 는 연당(蓮塘).

할아버지는 판청주목사(判淸州牧使)를 역임한 하자종(河自宗),

아버지는 영의정을 역임한 하연(河演), 어머니는 이존성(李存性)의 딸인 성주이씨이다.

 

하우명은 1413(태종 13) 서울 돈의문(敦義門) 밖에서 영의정을 지낸 하연의 3남으로 태어나

아버지가 세자[문종]의 스승이었던 은고(恩顧)

1444(세종 26)에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거쳐

1449(세종 31)에 철원부사(鐵原府使)로

1453(단종 1)에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에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까지 이르렀으나,

1453년 10월 10일 계유정난(癸酉靖難)이 일어나자 관직을 버리고 향리로 은거하였다.

사헌부감찰 당시 당직일에 술에 취해 집으로 돌아갔다는 이유로 사헌부에서 탄핵하여 파면을 당한 적도 있었는데,

향리로 은거한 후 조선 전기를 대표하는 효자로 추앙받게 되었다.


아버지 하연(河演)이 관직에서 물러나 집에서 가족들과 함께 휴식을 취하면 글 읽기와 해학으로 기쁘게 해드렸다.

아침·저녁으로 음식을 꼭 몸소 맛보고 손수 조리한 것이 아니면 드리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하연이 말년에 치매를 앓았는데, 하우명은 싫은 기색 없이 한결같은 마음으로 아버지를 보살폈으며

아버지가 78세로 돌아가자 상례를 극진히 했고, 조석의 제수를 친히 준비하였다고 한다.

거상 (居喪) 후 어머니를 모시고 仁川府 소래산(蘇來山)의 부친묘소 옆 별장으로 낙향하였으며,

 

세조가 두 번이나 도진무절제사(都鎭撫節制使)의 벼슬로 불렀으나 신병을 핑계로 나가지 않았다.

어머니가 노환으로 식음이 감소하자,

지극한 효성으로 어머니를 섬겨 물이나 뭍에서 나는 맛이 있는 것은 무엇이나 갖추지 않은 것이 없었다.

어머니가 꿩의 간과 산새 구이를 좋아하였는데, 직접 수풀 속에 그물을 치고 꿩을 몰아 잡아다가 올렸다고 한다.

1465년 어머니가 76세로 돌아가시자 슬픔에 젖어 묘 옆에 영당(影堂)을 지어 기일마다 친히 제수를 갖추었으며

이 영당에 부모님의 모습을 직접 그린 영정(影幀)을 모셔 두고는 생전에 공양하듯이 행동했다고 한다.

하우명의 지극한 정성은 그가 거주한 인천부에서 중앙으로 보고함으로써 알려졌고,

정문(旌門)과 복호(復戶)가 내려졌다.

 


 

하우명의 효행은 아버지 하연으로부터 본받아 전수된 것으로 본다.

하연은 영의정으로 바쁜 일정 속에서도 가묘(家廟)에 참배를 하루도 거르지 않았으며,

돌아가신 부친의 초당을 수리하여 평소 쓰시던 기물이나 자리를 조금도 바꾸지 않을 정도의 효자로서

효행이 부친에게서 그 아들 하우명대까지 이어 내려온 것이다.

하우명의 효행은 당시에는 드문 일이라 하여 여러 문헌에 기록되어 세상에 널리 알려졌다.

효는 유교적 윤리가 강조되는 조선시대에 더없이 중요한 덕목으로 간주되었고,

하우명 집안은 이러한 덕목의 본보기로서 손색이 없는 사례였다.

 

과거 구로구 지역이었던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 산 12번지 소래산 중턱 남쪽 기슭에 있다.

한 묘소에 두 개의 봉분을 쌓은 형태로 하우명과 그의 처인 순천박씨의 묘이다.

묘소를 중심으로 앞 중앙에 상석과 향로석이 놓여 있고,

그 앞에 장명등, 좌우에 문신석인 한 쌍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 봉분 앞에 묘표(墓表)가 있다.

 

한편, 진주하씨 묘역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있는 하우명 효자정각은 맞배지붕에 한식 기와를 얹은 목조 건물로서

정려비(旌閭碑)는 높이 1.27m, 61, 두께 22의 규모이다.

이 비각은 1700년대에 처음 세워진 후, 후대에 내려오면서 수차에 걸쳐 중수를 실시하였고

1988531일에 시흥시 향토유적 제11호로 지정되었다.

1624(인조 2) 합천 신천서원(新川書院)에 배향되었으며

하우명 정려비(旌閭碑)의 비문은 부사 최흔(崔昕)이 지었다.

1475(성종 6년) 사숙재(私淑齋)·강희맹이 지은소래하중추정문기(蘇萊河中樞旌門記)」의 내용을

1995년에는 후손들에 의해 전각한 비석이 효자정각 앞에 세워졌다.



         嘉靖大夫同知中樞府事晉陽河公友明之墓 配貞夫人順天朴氏雙窆

         가정대부동지중추부사진양하공우명지묘 배정부인순천박씨쌍폄






시흥시향토유적 제11호 하우명효자정려



호군공 하철석護軍公河哲石




                       宣略將軍龍驤衛護軍 晉陽河公哲石之墓

                       선략장군용양위호군 진양하공철석지묘


문효공 하연 가계도

증조부 하즙(河楫) 문하찬성사

    조부 하윤원(河允源, 진산부원군 사헌부대사헌)

아버지 하자종(河自宗) 병부상서(兵部尙書),판청주목사(判淸州牧使), 증좌의정

어머니 晉州鄭氏 좌상시(左常侍이조판서(吏曹判書) 정우(鄭寓)의 딸

   하연 河演 문효공(文孝公)

     배위 성주이씨 개성부윤 이존성(李存性)의 딸

          장남 하효명 河孝明 군자감부정 증이조참판)

          차남 하제명 河悌明 예조좌랑

                   손자 하중호河仲浩

                           증손 河潤文하윤문-한성판관, 河漢文하한문 한성부좌윤

       삼남 하우명河友明 연당蓮塘 동지중추부사

                   손자 하철석河哲石

       형 : 하왕(河瀇, 병조판서)

       형 : 하형(河泂, 관찰사)

   동생 : 하결(河潔, 대사간)

   동생 : 하박(河簿, 증영의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