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목공 오산군 이주(靖穆公 烏山君 李澍)의 증손자 - 충청감사 졸암 이충작(拙庵 李忠綽)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61-1번지
졸암 이충작(拙庵 李忠綽)
1521(중종 16)∼1577(선조 10).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군정(君貞), 호는 졸암(拙庵) 또는 낙빈(洛濱). 직산(稷山).
오산군 이주(李澍)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진(李珎)이고,
아버지는 당은부수(唐恩副守) 이휘(李徽)이며, 어머니는 오황(吳滉)의 딸이다.
1559년(명종 14) 정시문과 을과 급제
1562년 저작에 재직 중 효행으로 형조좌랑으로 특진되었으며,
사헌부장령 때 중 보우(普雨)의 죄상을 논핵하였다가 제주도에 유배되었다.
또한, 일찍이 을사사화 때의 소윤파인 이기(李芑)·정순붕(鄭順朋)·임백령(林百齡) 등의
보익공신(保翼功臣) 호를 삭탈하는 전지(傳旨)를 올려 간흉(奸凶)의 죄상을 폭로하기도 하였다.
효성이 지극하여 어머니가 죽자 3년 동안 죽을 먹으며 피눈물을 흘리다가 마침내 실명하기에 이르렀다.
탈상한 뒤 승지에 제수되었는데 실명한 자를 왕 가까이 두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반대하니
명종이 교서를 내려 "사람들은 그의 눈을 미워하지만 나는 그의 눈을 사랑한다.”라고 하여
임금의 그에 대한 사랑이 매우 깊음을 나타내었다. 벼슬은 충청도관찰사까지 승진하였다.
嘉善大夫行成均館大司成 忠淸監司全州李公諱忠綽之墓
가선대부행성균관대사성 충청감사전주이공휘충작지묘
==========================================================================================================================================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 행 장수현감 죽수 이이태(竹叟 李以泰)
贈嘉善大夫戶曹參判 行通訓大夫長水縣監全州李公以泰之墓 配貞夫人咸安趙氏祔左
증가선대부호조참판 행통훈대부장수현감전주이공이태지묘 배정부인함안조씨부좌
죽수 이이태(竹叟 李以泰)
자는 대래(大來), 호는 죽수(竹叟).
이이태(李以泰)는 임영 대군(臨瀛大君)을 중시조로 하는 전주 이씨(全州李氏) 정간공파(貞簡公派) 8세손으로,
평양 감사를 지낸 이만영(李晩榮)의 3남 3녀 가운데 장남이다.
부인은 함안 조씨(咸安趙氏) 조형원(趙泂源)의 딸이며, 3남 4녀를 두었다.
『전주 이씨 임영 대군 정간공파 대동보』에 따르면, 이이태는 1624년에 태어났다.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1681년(숙종 7) 선공감 가감역(繕工監假監役),
사옹원 주부(司饔院主簿)를 거쳐 1683년(숙종 9) 장수 현감(長水縣監)에 이르렀다.
한편, 『계해증광 사마방목(癸亥增廣司馬榜目)』에는
1683년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한 이이태의 셋째 아들 이명주(李命疇)의 인적 사항 기록에
이이태의 관품은 통훈대부(通訓大夫),
관직은 남원 진관 병마절제도위(南原鎭管兵馬節制都尉)로 되어 있다.
1683년 12월 9일 장수 현감으로 재직하던 중 임지에서 졸하였으며,
차남 이혜주(李惠疇)의 추은(推恩)으로 호조참판(戶曹參判)에 추증되었다.
장남
차남 평안도병마절도사 이혜주(李惠疇)
삼남 이명주(李命疇)
=======================================================================================================================================================
평안도병마절도사 이혜주
이혜주李惠疇
본관은 전주(全州). 字는 자순(子順).
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의 8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참판 이만영(李晩榮)이고,
아버지는 남원진관 병마절제도위(南原鎭管兵馬節制都尉)를 지낸 죽수 이이태(竹叟 李以泰)이며,
어머니는 정부인 함안조씨로 조형원(趙泂源)의 따님이다.
부인은 증 정부인 여흥민씨로 민광경(閔光炅)의 따님이며,
계배위 정부인 안동김씨로 울진현령 수 첨지중추부사 김익(金榏)의 따님이다.
이혜주(李惠疇)는 1644년(인조 22)에 태어났으며, 1676년(숙종 2) 무과에 급제하였다.
온성부사(穩城府使), 훈련원 도정(訓鍊院都正)을 거쳐 1
696년 진위 현령(振威縣令)으로 재직하면서 진휼의 공로를 인정받아 가자(加資)되었다.
1699년 7월 춘천 방어사(春川防禦使)에 제수되었다.
1706년(숙종 32) 천 냥에 가까운 은화(銀貨)로 여러 마리의 양마(良馬)를 사서
권관요직(權官要職)에 있는 사람들에게 뇌물 준 일로 대사간(大司諫) 이야(李壄) 등에게 탄핵을 받았다.
이 일로 인하여 유득일(兪得一)·조경(趙絅)·이지익(李之翼) 등이 조사를 받게 되었다.
이후 평안 병사, 전라 병사 등을 역임하였다. 1710년(숙종 36)에 세상을 떠났다.
1743년(영조 19)에 우의정이었던 조현명(趙顯命)이
이혜주의 양마 뇌물 사건에 대해 언급한 홍계희(洪啓禧)의 상소의 표현을 지적하고,
이혜주가 중신(重臣)에게 말을 주었던 것은
호마(胡馬)[중국 북방이나 동북방 등지에서 나던 말]를 엄하게 금지할 때 있었던 일이라고 변론하기도 하였다.
嘉善大夫平安道兵馬節度使李公惠疇之墓 贈貞夫人驪興閔氏祔左 貞夫人安東金氏祔右
가선대부평안도병마절도사이공혜주지묘 증정부인여흥민씨부좌 정부인안동김씨부우
========================================================================================================================================================
철산군수 이인걸
이인걸李仁傑
본관은 전주(全州).
오산군(烏山君) 이주(李澍)의 5남인 덕안도정(德安都正) 이진이 이인걸의 할아버지이며,
덕안도정의 차남인 장성도정(長城都正) 이엄(李儼)이 이인걸의 아버지이다.
通訓大夫行鐵山郡守全州李公仁傑之墓 淑夫人南陽宋氏祔左
통훈대부행철산군수전주이공인걸지묘 숙부인남양송씨부좌
貞夫人溫陽鄭氏之墓
정부인온양정씨지묘
//적목공 오산군 이주(靖穆公 烏山君 李澍)가계//
조부 세종대왕
부친 임영 대군 이구(臨瀛大君 李璆)
모친 제안부부인 전주최씨 (濟安府夫人), 최승령(崔承寧)의 딸
적목공 오산군 이주(靖穆公 烏山君 李澍)
풍기군부인 창녕성씨--좌찬성 성임(成任)딸, 자 2녀
1녀 노윤광(盧允光), 2녀 안만복(安萬福)
풍기군부인 연안김씨(延安金氏) --자 7남
장남 창평수 이근(昌平守 李瑾)
차남 희제정 이호(稀蹄正 李瑚)
삼남 적천수 이연(赤川守 李璉)
사남 홍양수 이완(洪陽守 李玩)
오남 덕안도정 이진(德安都正 李珍)
손자 당은부수 이휘(唐恩副守 李徽)
증손 졸암 이충작(拙庵 李忠綽)
현손 이견철
5대손 이만영
6대손 이이태(李以泰)
7대손 이혜주(李惠疇)
배위 증 정부인 여흥민씨, 민광경(閔光炅)의 따님
배위 정부인 안동김씨, 울진현령 수 첨지중추부사 김익(金榏)의 따님
손자 장성도정 이엄(長城都正 李儼)
증손 이인걸(李仁傑) 이엄의 4남
육남 엄천수 이거(嚴川守 李琚)
손자 여산부수 이계붕(驪山副守 李季鵬)--이의영(李宜永)
칠남 온천수 이진(溫川守 李璡)<이유라고도 함>
-------------------------
손자 통덕랑 이신李伸 =??
도봉구-전은 안상계(田隱 安桑鷄), 안방형(安邦炯), 안백균(安伯均) (0) | 2019.01.22 |
---|---|
도봉구-연창위 양효공 안맹담(延昌尉 良孝公 安孟聃), 정의공주(貞懿公主), 청주목사 안종해(安宗海) (0) | 2019.01.22 |
도봉구-창평수 이근(昌平守 李瑾), 엄천수 이거(嚴川守 李琚), 여산부수 이계붕(驪山副守 李季鵬), 통덕랑 이신(李伸) (0) | 2019.01.21 |
도봉구-오산군 이주(烏山君 李澍),풍기군부인 창녕성씨/풍기군부인 연안김씨 (0) | 2019.01.20 |
도봉구-성비 원주원씨誠妃 原州元氏, 태조의 후궁/성빈 원주원씨 (0) | 2019.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