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아산시 신창면 오목리 산 108-1
崇祖報本唯人道숭조보본유인도
首丘初心永來忘수구초심영래망
괴목유래槐木由來
조선조 英祖때 수직으로 대호군에 오른
증 이조판서 연안이공 휘 이징대(李徵大)께서
장자 형조판서(이정운李鼎運,刑曹判書,)의 출생기념으로 英祖 甲子年(1744년)에 여기에 괴목을 심고
차자 홍문관교리(이승운李升運,弘文館敎理,)의 출생기념으로 丙寅年(1746년)에 고택 후원에 팽나무를 심었고
삼남 예조판서(이익운李益運,禮曹判書)의 출생기념으로 戊辰年(1748년)에 고택 정원에 은행목을 심었다.
이 세가지 나무처럼 수명장수하고
이 아름다운 괴목들처럼 국가에 명성을 떨치라고 원대한 포부와 신념으로
삼형제 근독과업(謹篤課業)하여 영예로운 성공을 거두었다는 구전이문(口傳耳聞)이 전래한다.
그러나 유감스럽게 팽나무와 은행목은
근세에 와서 자손들의 관리소홀로 없어지고 말았으니 천추(千秋)에 한이 서린다.
檀紀四三二七年 甲戌 十二月三十日(1994.12.30.)
고조부 이경현(李景賢)
증조부 이해뢰(李海賚) 사복시정司僕寺正
조부 이제상(李濟相)
부 이춘정(李春挺)
이징대(李徵大) 대호군大護軍
장자 이정운(李鼎運1743~1800) 암행어사, 서장관, 충청관찰사, 형조판서 정민공貞敏公
장손 이명적(李明迪. 1795년(정조 19)~1874) 이조판서吏曹判書
차남 이승운(李升運) 홍문관교리
壻 안동인 김의공(金義恭) 이희연
김익례, 김응례,김면호(金勉浩)(김계호金季好)
삼남 이익운(李益運,1748~1817) 예조판서, 정숙공靖肅公
손자 이명호(李明鎬)
광주-최항 배위 정경부인 대구서씨,사직 최수영崔秀英,최계종崔繼宗,부호군 최변崔抃, 최만년崔萬年,최호崔皥 (0) | 2020.01.21 |
---|---|
광주-문정공 태허정 최항(文靖公 太虛亭 崔恒), 삭녕최씨 (0) | 2020.01.20 |
아산-성균진사 이구정(李龜挺), 연안이씨, 통례문부사공파(通禮門副使公派) (0) | 2020.01.17 |
아산-사복시정 이해뢰(李海賚), 통덕랑 이제겸(李濟兼) (0) | 2020.01.17 |
아산-매헌 이경현 (梅軒 李景賢), 연안이씨, 통훈대부 군기시정, 토악청민(吐握聽民) (0) | 2020.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