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곡 이서우 영정각 (松谷 李瑞雨 影幀閣)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단강리 1128-3번지
松谷 李瑞雨 影幀閣
송곡 이서우 영정각
1633년(인조 11)~1709년(숙종 35)
본관은 우계(羽溪). 字는 윤보(潤甫), 휴징(休徵), 號는 송곡(松谷), 송파(松坡), 구계(癯溪), 계옹(溪翁).
성균관 전적 이성헌(李成憲)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 통훈대부 승정원 좌승지 이길남(李吉男)이고,
아버지는 사복시첨정으로 증 예조판서인 이경항(李慶恒)이며 4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조선 태종의 차남 효령대군 이보(孝寧大君 李補)의 7대손인 수군절도사 이경유(李慶裕)의 딸이다.
당색으로는 대북계열의 집안에서 태어났다.
영정각(影幀閣)은 조선 후기의 문신, 문인, 시인 송곡 이서우(松谷 李瑞雨,1633~1709)의 사당으로,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단강리 작실부락에 있다.
숙종대에 건립되었으나 현재의 건물은 1968년에 복원한 것이다.
인근에는 작실부락 마을회관과 구.단강초등학교 부지 등이 있다.
영정각(影幀閣)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단강리 1128-3번지
조선 후기의 문신, 문인, 시인 송곡 이서우(松谷 李瑞雨, 1633 ~ 1709)의 사당으로, 작실부락에 있다.
숙종대에 건립되었으나 현재의 건물은 1968년에 복원한 것이다.
인근에는 작실부락 마을회관과 구.단강초등학교 부지 등이 있다.
이서우(李瑞雨)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으로,
자는 (潤甫)·휴징(休徵), 호는 송곡(松谷), 송파(松坡)이며 구계(癯溪)·계옹(溪翁) 등의 별호를 사용하였다.
본관은 우계(羽溪)이다. 고려 국자감대사성 이순우와 조선 중기의 무신 이지방의 후손이다.
윤선도, 윤휴, 허목의 문인으로,
1651년(효종2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660년(현종1년) 문과에 급제한 후 한동안 한직에 있다가 허목, 윤휴가 번갈아 추천하여
1675년(숙종1년) 사간원정언과,
인조 반정이후 북인가문으로는 처음 청요직에 올랐으며, 남인으로 전향하여 활동하였다.
숙종이 세자시절,
정월 대보름에 남산골에 미행을 왔다가 어렵게 독학하던 그를 딱하게 여긴 숙종이
그에게 약밥과 마제은 한덩이를 던져 주었다.
그러나 그는 마제은 한덩이를 쓰지 않았고, 열심히 공부하여 1660년(현종1년)에 문과 급제에 이르렀다.
숙종 즉위 후 얼마지나지 않아 조회에서 세자 시절의 남산골 선비를 이야기하자
이서우는 그 선비가 자신임을 밝히고 부복하였다.
이서우는 숙종이 별감을 시켜 던져준 마제은 한덩이를 징표로 내놓았고,
마제은이 한치도 닳지 않자 그의 청렴성에 감격한 숙종이 이서우를 청요직에 발탁했다고 한다.
예송 논쟁 당시 남인의 중진 논객으로 송시열, 송준길 등의 기년복에 맞서 허목, 윤휴의 3년복설을 지지하였다.
1680년 경신환국으로 파직되었다가
1688년 기사환국으로 복직하고,
1694년 갑술환국으로 파면되었다가
1697년 복관되었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저서로는 송파집 20권, 강사 2권 등을 남겼다.
영정각을 답사한 날이 종친회에서 영정각을 보수하는 날이어서
송곡선생 9대직손 송암 이한민(松岩 李漢敏)
원주시 부론면 단강리 산91
松岩羽溪李公漢敏之墓
송암우계이공한민지묘
9대 직계조 송곡 이서우(松谷 李瑞雨)
부친 이수선(李首善)
생부 이창선(李昌善)
송암 이한민(松岩 李漢敏)
자 이인근(李麟根), 이학근(李鶴根), 이태근(李台根), 이익근(李益根)
손자 이병갑(李炳甲)
증손자 이용기(李龍基), 이정기(李政基)
서울-병조참판 백흠 이광식(伯欽 李光軾) (0) | 2020.03.27 |
---|---|
서울-송곡 이서우(松谷 李瑞雨), 우계이씨 (0) | 2020.03.26 |
원주-사복시첨정 이경항(李景恒), 이가우(李嘉雨), 진사 이홍관(李弘觀), 이심(李審), 이봉일(李鳳一) (0) | 2020.03.23 |
원주-사헌부대사헌 이감(李戡), 성균전적 이성헌(李成憲), 선무랑 이길남(李吉男), 우계이씨 (0) | 2020.03.23 |
원주-우계이씨부사정공파 이경연(李景衍), 선무랑 이징(李徵), 동지돈녕부사 이지방(李之芳) (0) | 2020.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