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파주-문정공 청송 성수침 묘(文貞公 聽松 成守琛)묘,신도비,증 이조참의 성경주(成擎柱)

구름에 달

by 碧巖 2020. 12. 9. 23:24

본문

728x90

문정공 청송 성수침(文貞公 聽松 成守琛), 창녕성씨

경기 파주시 파주읍 향양리 390-61

 

聽訟成先生之墓 贈貞夫人尹氏祔

청송성선생지묘 증정부인윤씨부

 

聽訟成先生諱守琛之墓 贈貞夫人坡平尹氏祔左

청송성선생휘수침지묘 증정부인파평윤씨부좌

묘비에 앞뒤로 각자가 되어있으니 잘 볼수가 없는 희귀한 묘비이다.

문정공 청송 성수침(文貞公 聽松 成守琛)

1493년(성종24)~1564년(명종19)

본관은 창녕(昌寧). 字는 중옥(仲玉), 號는 청송(聽松)·죽우당(竹雨堂)·파산청은(坡山淸隱)·우계한민(牛溪閒民).

한성부윤 성득식(成得識)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현령 성충달(成忠達)이고,

아버지는 대사헌 성세순(成世純)이다. 어머니는 광산김씨로 강화부사 김극니(金克怩)의 따님이다.

아우인 절효공 성수종(節孝公 成守琮)과 함께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이다.

1519년(중종 14)에 현량과(賢良科)에 천거되었다.

그러나 기묘사화가 일어나 정암 조광조(靜庵 趙光祖)와 그를 추종하던 많은 사림들이 처형 또는 유배당하자

벼슬을 단념하고 청송이라는 편액을 내걸고 두문불출하였다.

이때부터 과업(科業)을 폐하고 『대학(大學)』과 『논어(論語)』 등 경서 공부에 전념하였다.

 

1541년 유일(遺逸: 과거를 거치지 않고 학덕으로 높은 관직에 임명될 수 있는 선비)로서

후릉참봉(厚陵參奉)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어머니를 모시고 처가가 있는 우계(牛溪)에 은거하였다. 1552년(명종 7) 내자시주부(內資寺主簿)·

예산현감(禮山縣監)·토산현감(兔山縣監)·적성현감(積城縣監)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1564년 사지(司紙)에 임명되었으나 나이가 많다는 이유를 들어 사퇴했으며,

졸하였을 때에는 집안이 가난하여 장례를 지낼 수가 없었다.

이에 사간원의 상소로 국가에서 관곽(棺槨)과 미두(米豆)와 역부(役夫)를 지급해주고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에 추증하였다.

조선 초기 성리학의 토착화는 정암 조광조(靜庵 趙光祖)를 중심으로 하는 도학사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대의명분과 요순(堯舜)의 지치(至治)를 현실에 구현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기묘사화로 불가능하게 되자, 은일(隱逸: 초야에 묻혀 학자로서만 활동)을 일삼고

산간에 묻혀 자기수양에 힘써 이러한 학풍을 몸소 실천하였다.

성수침의 문하에서 아들 성혼(成渾)을 비롯한 많은 석학들이 배출되었다.

저서로는 『청송집(聽松集)』이 있으며,

글씨를 잘 썼는데 「방참판유령묘갈(方參判有寧墓碣)」등이 있다. 문정(文貞)의 시호를 받았다.

文貞公 聽松 成守琛 墓碣

문정공 청송 성수침 묘갈

 

有明朝鮮國聽松成先生墓碣銘幷序

유명조선국청송성선생묘갈명병서

문순공 퇴계 이황(文純公 退溪 李滉) 짓고 쓰다

 

崇政大夫議政府右贊成兼 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 知經筵春秋館成均館事 李滉 撰幷書

숭정대부의정부우찬성겸 홍문관대제학예문관대제학 지경연춘추관성균관사 이황 찬병서

추기

左議政 文孝公 浦渚 趙翼 謹記

좌의정 문효공 포저 조익 근기

聽松先生 外曾孫 童土 尹舜擧 書

청송선생 외증손 동토 윤순거 서

 

 

 

 

 

문정공 청송 성수침의 8대손    증 이조참의 성경주(成擎)

 

吏曹參議昌寧成公擎柱之墓 配淑夫人海州吳氏祔左

이조참의창녕성공경주지묘 배숙부인해주오씨부좌

 

 

//창녕성씨 문간공 우계 성혼(文簡公 牛溪 成渾)가계//

    5대조 성억(成抑)

   고조부 성득식(成得識) 한성판윤

   증조부 성충달(成忠達) 현령, 증 판서

할아버지 성세순(成世純), 대사헌 지중추부사, 사숙공(思肅公)

할머니 정부인 광산김씨, 강화부사 김극니(金克怩)의 따님 좌의정 정정공 서석 김국광(丁靖公 瑞石 金國光)의 손녀

   아버지 문정공 청송 성수침(文貞公 聽松 成守琛)

   어머니 증 정경부인 파평윤씨(坡平尹氏), 판관 윤사원(尹士元,정현왕후의 조카)의 따님

            문간공 우계 성혼(文簡公 牛溪 成渾)

            배위 정경부인 고령신씨, 군수 신여량(申汝樑)의 따님, 좌의정 신용개(신용개) 손녀

                   장남 성문영(成文泳) 早卒

                   차남 성문준(成文濬) 영동현감, 창녕 물계서원(勿溪書院) 제향

                   배위 함안조씨, 주부 조감(趙堪)의 따님, 충숙공(忠肅公) 휴암(休菴) 백인걸(白仁傑)의 외손녀

                         손자 성력(成櫟) 사재감첨정—계 성희주(成熙胄) 군수

                               증손자 성희주(成熙胄) 첨정, 생부 지중추부사 성직(成㮨)

                                     현손 성지행(成至行) 매곡(梅谷). 동지중추부사

                                            5대손 성의석(成義錫)

                                                  6대손 성덕윤(成德潤) 대사간

                                                         7대손 증 이조참의 성경주(成擎柱)

                        손자 성익(成杙) 별좌

                                증손자 성희집(成熙緝), 생부 성직(成㮨) 지중추부사

                        손자 성직(成㮨) 지중추부사

                        배위 증 정경부인 청풍김씨, 증 좌찬성 김비(金棐)의 따님 -无后

                        배위 증 정경부인 함열남궁씨, 남궁행(南宮荇)의 따님,  부사 남궁제(南宮悌)의 손녀

                               증손자 성희적(成熙績), 사의(司議)

                               증손자 성희주(成熙胄), 첨정 출계 백부 성력(成櫟)

                               증손자 성희집(成熙緝) 출계 중부 성익(成杙)

                               증손자 성희명(成熙命)

                 삼남 성문잠(成文潛)

                 사위 함열남궁씨 별좌 남궁명(南宮蓂)

                 사위 파평윤씨 증 영의정 문정공 팔송 윤황(文正公 八松 尹煌)

         숙부 증 직제학 절효공 성수종(節孝公 成守琮)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