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산서원 坡山書院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0호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파산서원길 24-40(눌노리 235)
파산서원 坡山書院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0호
1568년(선조1) 휴암 백인걸(休庵 白仁傑)과 율곡 이이(栗谷 李珥) 등의 관료와 파주 일대 유생의 발의에 의하여
적성현감 청송 성수침(聽松 成守琛)을 제향하고, 유생의 장수처(藏修處)로 삼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성수침은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이며,
중종·명종 때 도학과 청절(淸節)로서 이름이 높아 당시 기호사림의 대표적인 존재로 추앙되고 있었기 때문에
파산서원(坡山書院)은 선조 초에 있어 기호사림이 중심이 된 서인의 본거지가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청송(聽松)의 아들 우계 성혼(牛溪 成渾)이 동인(東人)의 미움을 받았기 때문에
1650년(효종1) 비로소 파주 유생 백홍우(白弘祐) 등의 청액소(請額疏)를 계기로 사액을 받게 되었다.
1628년(인조6) 우계 성혼(牛溪 成渾)을 추가 제향하고,
1705년(숙종31) 휴암 백인걸(休庵 白仁傑)의 위패를 인근 자산서원(紫山書院)으로부터 옮겨와 추가 배향하였으며,
1785년(정조9) 성수침의 동생인 절효공 성수종(節孝公 成守琮)을 추가 배향하였다.
1871년(고종8) 대원군의 서원철폐시 훼철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로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현재는 사묘(祠廟)만 남아 있으며,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0호로 지정되어 있다.
사묘에는 성수침을 주벽(主壁)으로 좌우에 성혼, 성수종, 백인걸을 배향하고 있으며, 매년 봄·가을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경기도문화재자료 제10호 파산서원(坡山書院) 배향
문정공 청송 성수침(文貞公 聽松 成守琛, 1493~1563)
문간공 우계 성혼(文簡公 牛溪 成渾, 1535~1598)
절효공 성수종(節孝公 成守琮, 1495~1533)
문경공 휴암 백인걸(文敬公 休庵 白仁傑, 1497~1579),
察倫堂찰윤당
찰륜당(察倫堂)은 정면 4칸, 측면 2칸짜리 팔작지붕 건물로 1977년 개수하였다.
'察倫堂'이라는 편액은 1918년 춘원 이광수(春元 李光秀)가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07년 파주 인근의 유림들이
옥천 조감(玉川 趙堪,1530~1586),
창랑 성문준(滄浪 成文濬,1559~1626),
화당 신민일(化堂 申敏一1576~1650) 등을
영모하기 위하여 건립하여 1808년 사액되었다고 한다.
化堂申先生 화당신선생 滄浪成先生 창랑성선생 玉川趙先生 옥천조선생
본관은 함안(咸安), 字는 극기(克己), 號는 옥천(玉川),
아버지는 참봉을 지낸 조두견(趙逗堅)이다.
휴암 백인걸(休庵 白人傑)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으며, 그의 딸을 맞이하여 아내로 삼았다.
1566년(명종11) 부친상을 당하여 3년간 여묘살이를 끝낸 뒤 음보로 장수찰방에 임명되었다.
1570년(선조3)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이듬해 이번에는 어머니가 돌아가셔서 다시 3년간 여묘생활을 하였다.
그 뒤 나이든 스승을 모시고자 咸安을 떠나 한양으로 올라왔다.
이후 사포서별좌를 거쳐 의금부도사와 평시서직장 등을 차례로 역임하고, 1585년 종부시주부에 이르렀다.
학식과 재능을 겸비한 인물이었으며, 당대에 대문장가로 크게 이름을 날렸다.
또한 의리를 중히 여겼으며, 재물을 가벼이 여겨 가난한 이를 보면 그냥 넘어가는 법이 없었다고 한다.
죽음에 이르러서는 평온한 모습으로 유지를 전하고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
파주의 용주서원에 배향되었다.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월롱면 능산리에 묘가 있다.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字는 중심(仲深), 號는 영동(永同), 창랑(滄浪).
좌참찬 우계 성혼(牛溪 成渾)의 아들이다.
1585년(선조 18) 사마시에 합격하여 연은전참봉(延恩殿參奉)·세마를 지냈다.
아버지가 무욕(誣辱)을 당하게 되자 벼슬을 버리고 임천(林泉)에서 14년간 은거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뒤 사포(司圃)를 거쳐, 영동현감을 역임하였다.
박학한 학자로서 글씨도 잘 썼다. 창녕의 물계서원(勿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태극변,太極辨》,《홍범의,洪範義》,《창랑집,滄浪集》이 있다.
조선의 문신. 字는 공보(功甫), 號는 화당(化堂),
아버지는 사재감첨정 신암(申黯)의 아들이다.
우계 성혼(牛溪 成渾)의 문인으로 1615년(광해군7) 사마시를 거쳐 식년문과 병과급제,
省峴道 察訪(성현도찰방), 감찰, 延曙道 察訪(연서도찰방), 銀溪道察訪(은계도찰방)을 역임한 후 사퇴하고,
1623년 인조반정 후 예조정랑이 되고,
1627년 정묘호란 때 인조를 호종하고, 강화에 가서 화의를 반대했다. 장령, 사간 등을 거쳐,
1631년 인조의 아버지 정원군(定遠君)을 원종(元宗)으로 追崇(추숭)하려는 의논에 반대하다 강계로 유배
1633년에 풀려났다.
1636년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 왕을 호종, 강화 후 영남에 내려가 있다가
1640년(인조18) 동부승지가 되고, 이어 우승지가 되었다.
1650년(효종1) 대사성에 올랐다. 시문집인 화당집(化堂集) 5권 3책이 전한다.
우계서실 유허비와 청송선생 유덕기념비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눌노리 268-25
牛溪書室 遺墟碑 우계서실 유허비
後學潘南朴豐緖謹撰 十二代孫成樂春謹書
후학반남박풍서근찬 십이대손성악춘근서
聽松先生遺德記念碑
청송선생유덕기념비
坡州農地改良組合 組合長 金學基 謹識 第五代民議院議員 辯護士 傍孫 成泰慶 敬書
파주농지개량조합 조합장 김학기 근식 제오대민의원의원 변호사 방손 성태경 경서
碑碣銘 聽松先生下世後 四百十八年 歲在辛酉 十三代孫 成樂直 敬書
비갈명 청송선생하세후 사백십팔년 세재신유 십삼대손 성락직 경서
의왕-청평군 김우증 묘(淸平君 金友曾),청풍김씨 의왕 입향조 (0) | 2020.12.15 |
---|---|
화성-성균진사 심수경(沈壽卿), 경안찰방 심평(沈枰),청송심씨 정이공파 부사공계 (0) | 2020.12.11 |
파주-문정공 청송 성수침 묘(文貞公 聽松 成守琛)묘,신도비,증 이조참의 성경주(成擎柱) (0) | 2020.12.09 |
파주-문간공 우계 성혼 묘(文簡公 牛溪 成渾),우계 성혼 신도비(牛溪 成渾 神道碑) (0) | 2020.12.08 |
파주-문간공 우계 성혼(文簡公 牛溪 成渾) 유적지, 창녕성씨 (0) | 2020.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