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단공 백담 구봉령(文端公 栢潭 具鳳齡)
경북 안동시 와룡면 라소리 산 102-2
백담 구봉령(栢潭 具鳳齡) 1526(중종 21)∼1586(선조 19).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경서(景瑞), 호는 백담(栢潭)
문정공(文貞公) 구위(具褘)의 8세손이며, 구겸(具謙)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안동권씨로 권회(權檜)의 따님이다.
7세에 어머니를 여의고 11세에 아버지마저 졸하자 외종조 권팽로(權彭老)에게 《소학(小學)》을 배워
1541년 16세에 논어를 읽고 문리를 터득하였으며
1545년 퇴계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46년 명종 1년 21세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1560년 35세에 별시 문과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 부정자, 예문관 검열, 봉교, 홍문관 정자에 이르렀다.
1564년 39세에 문신 정시(文臣庭試)에 장원하여 수찬, 호조좌랑, 병조좌랑을 거쳐 1567년 사가독서하였다.
그후 정언, 전적, 이조좌랑,등 사간을 거쳐
1573년 직제학에 올라 동부승지, 우부승지, 대사성, 전라도와 충청도 관찰사, 대사간, 이조참의, 형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581년 56세에 대사헌에 오르고, 이듬해 병조참판, 형조참판등을 지냈다.
한때 암행어사(暗行御史)가 되어 민심을 수습하기도 하였으며,
당시는 동서의 붕당이 시작되던 무렵으로 중립을 지키기에 힘썼으며
시문(詩文)에 뛰어나 고봉 기대승(高峯 奇大升)과 비견되었고
또한 〈혼천의기(渾天儀記)〉를 짓는 등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만년에 정사(精舍)를 세워 후학들과 경사(經史)를 토론하였으며 죽은 후에는 정사 동쪽에 학도묘(學徒廟)가 세워졌다.
시호는 문단(文端)으로 용산서원(龍山書院)에 제향되었으며,
저서로는 《백담문집(栢潭文集)》과 그 속집(續集)이 있으며, 묘갈명은 흥양인 창석 이준(蒼石 李埈)이 찬하였다.
嘉善大夫吏曹參判兼藝文館提學同知經筵事成均館事五衛都摠府副摠管具公之墓
가선대부이조참판겸예문관제학동지경연사성균관사오위도총부부총관구공지묘
有明朝鮮國 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經筵義禁府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春秋館成均館事 世子左賓客五衛都摠府
유명조선국 증자헌대부이조판서겸지경연의금부사홍문관대제학예문관대제학지춘추관성균관사세자좌빈객오위도총부
都摠管行嘉善大夫吏曹參判兼藝文館提學同知經筵成均館事五衛都摠府副摠管諡文端栢潭具先生之墓 貞夫人咸昌李氏祔
도총관행가선대부이조참판겸예문관제학동지경연성균관사오위도총부부총관 시문단백담구선생지묘 정부인함창이씨부
//능성인 문단공 백담 구봉령(文端公 栢潭 具鳳齡) 가계//
8대조 문정공 구위(文貞公 具褘)
증조부 구인서(具仁恕)
조부 증 좌승지 구중련(具仲連)
부친 증 이조참판 구겸(具謙)
모친 안동권씨, 권회(權檜)의 따님
문단공 백담 구봉령(文端公 栢潭 具鳳齡, 1526~1586)
배위 정부인 함창김씨, 강이습독관 김응율(金應律)의 따님
장남 사포서별좌 구충윤(具忠胤)
차남 별좌 구선윤(具善胤),
삼남 별좌 구성윤(具誠胤)
안동-부라원루(浮羅院樓), (0) | 2022.08.03 |
---|---|
안동-우송정(友松亭), 우송정 지정(友松亭 池淨), 표충비(表忠碑), 표충각(表忠閣), 우송정 지봉원(友松亭 池逢源),충주지씨. (1) | 2022.08.01 |
안동-하계마을 독립운동 기적비(下溪마을 獨立運動 紀蹟碑) (0) | 2022.07.30 |
안동-문순공 퇴계 이황(文純公 退溪 李滉), 봉화금씨 (0) | 2022.07.26 |
안동-계상서당(溪上書堂), 계재(溪齋), 한서암(寒棲庵) (0) | 2022.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