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평창-오대산 월정사(五臺山 月精寺), 월정대가람(月情大伽藍)

종교

by 碧巖 2022. 12. 25. 21:39

본문

728x90

월정사 일주문 월정대가람(月情大伽藍)---탄허스님 친필---1976년 만화스님 중건

오대산 월정사(五臺山 月精寺)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동산리 63-1)

지국천왕(持國天王)                                                    증장천왕(增長天王)

 광목천왕(廣目天王)                                                            다문천왕(多聞天王)

월정사 금강연(金剛淵)--세종실록지리지에 ‘한강 물의 근원’

월정사 천왕문(天王門)

오대산 월정사(五臺山 月精寺)

오대산 월정사(五臺山 月精寺)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한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의 본사이다.

643년(선덕여왕 12)에 자장율사(慈藏律師)가 창건하였다.

창건 당시 자장율사는 임시로 초암(草庵)을 얽어 머물면서 문수보살의 진신(眞身)을 친견하고자 하였으나,

그가 머물던 3일 동안 음산한 날씨가 계속되어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 뒤 유동보살(幼童菩薩)의 화신이라고 전하는 신효거사(信孝居士)가 이곳에 머물렀고,

범일(梵日) 국사의 제자였던 두타승 신의(信義)스님이 자장율사가 휴식하던 곳을 찾아와서 암자를 짓고 살았다.

신의가 죽은 뒤 이 암자는 오랫동안 황폐해 있었는데,

수다사(水多寺)의 유연(有緣)스님이 암자를 다시 중창하면서 월정사의 사격(寺格)을 갖추었다.

 

그 뒤 1307년(충렬왕 33) 화재로 전소된 것을 이일(而一)스님이 중창하였고,

1833년(순조 33)에 다시 화재로 전소된 것을

1844년(헌종 10)에 영담(瀛潭)스님과 정암(淨庵)스님 등이 중건하여 내려오다가

1·4후퇴 당시 작전상의 이유로 아군에 의하여 칠불보전(七佛寶殿)을 비롯한 10여 동의 건물이 전소되었다.

1964년 탄허(呑虛)스님이 법당인 적광전(寂光殿)을 중창한 뒤 만화(萬和)스님이 꾸준히 중건하였다.

오대산은 동, 서, 남, 북, 중앙의 봉우리에 각각의 대(臺)가 있어서 오대(五臺)라 불리우며

동대(東臺) 만월산에 관세음보살,

서대(西臺) 장령산에 대세지보살,

남대(南臺) 기린산에 지장보살,

북대(北臺) 상왕산에 미륵보살,

상원사에는 문수보살이 각각의 일만(一萬) 보살로 화현(化現)하여 상주설법(常住說法)하며

중대(中臺)에는 오대신앙의 근원지인 적멸보궁이 있다.

월정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의 본사로 산하에 60여개의 사찰과 10여개의 암자가 있다.

중요 문화재로

국보 제48호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국보 제292호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보물 제139호 석조보살좌상,

보물 제1375호 팔각구층석탑내 발견유물 일괄----은제도금여래입상,수정사리병 등 9종12점

보물 제1995호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中臺 寂滅寶宮)

강원도 유형문화재 월정사 육수관음상

강원도 문화재자료 부도 22기

외에도 보물 및 유물들을 모아놓은

전시실 보장각(寶藏閣)에는 팔각구층탑과 같은 모양의 축소판 목조탑이 있다.

 

그리고 대장경을 넣었던 경궤, 『금강경』 3권, 『범음집 梵音集』 2권, 『진언집 眞言集』 1권,

『보권문 普勸文』 1권, 『지장경 地藏經』 2권, 인도 불상, 인도 패엽경, 난초족자 2, 독성탱화 1폭,

관음보살변상도(觀音菩薩變相圖) 1폭, 신중탱화, 바라 1쌍, 조선시대 의상·기와, 고려시대 궤짝 13개,

구리거울인 무문경·파문경·쌍룡경·사룡경이 있고,

향낭·향합·수정사리병·진신사리병·은합·청동합, 청동갑옷을 쌌던 보자기, 목향 등이 소장되어 있다

오대산 월정사(五臺山 月精寺)

용금루(湧金樓)

월정사 팔각구층석탑(八角九層石塔)     국보 제48호

월정사 적광전(寂光殿)

월정사 진영각(眞影閣)

개산조각(開山祖閣)    월정사를 창건한 자장율사(慈藏律師)의 진영(眞影)을 모신 전각

월정사 삼성각(三聖閣)

월정사 수광전(壽光殿)

월정사 종고루(鐘鼓樓) -범종각

석경원(碩經院) -불교용품 판매

월정사 종고루 하층    석경원(碩經院) -불교용품 판매

불유각(佛乳閣)

월정사 설선당(說禪堂)

월정사 종무소 보장각(寶藏閣)

 

월정사 금강루(金剛樓) 금강문(金剛門)

월정사 대법륜전(大法輪殿)

월정사 선불장(選佛場)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