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사(道山祠), 월파 유팽로(月坡 柳彭老), 유월파 장군 정렬각(柳月坡 將軍 旌烈閣)
전남 곡성군 옥과면 합강리 산16-4
전남 문화재자료 제25호
도산사 안내도
임진왜란 최초 의병장 월파 유팽로의 벽화설명
六歲作詩碑육세작시비
前有合江水전유합강수---합강 앞에는 강물이 흐르고
後有玉出山후유옥출산---뒤에는 옥출산 있다네
願借江山壽원차강산수---바라건데 강산의 수명을 빌려
但欲悅親顔단욕열친안---어버이를 기쁘게 하고자 할뿐
월파 유팽로(月坡 柳彭老) 육세에 짓다.
도산사 동재
유팽로 전시관
월파 유팽로(月坡 柳彭老, 1554~1592)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형숙(亨叔)·군수(君壽), 호는 월파(月坡).
개국공신 유만수(柳曼殊)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유경안(柳景顔)이다. 천성이 효우(孝友)하였다고 한다.
1579년(선조12) 25세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1588년 34세에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옥과현에서 살았다.
임진왜란 당시 최초의 의병장(4월 20일)으로 의령의 곽재우 장군(4월22일)보다 이틀 먼저 봉기하였다고 한다.
1592년 38세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송암 양대박(松巖 梁大樸, 1544~1592),
청계 안영(淸溪 安瑛, 1564~1592) 등과 함께 궐기하였으며,
피난민 500명과 가동(家偅) 100여명을 이끌고 담양에서
제봉 고경명(霽峰 高敬命, 1533~1592)의 군사와 합세하였다.
여기에서 고경명이 의병대장으로 추대되었는데, 유팽로(柳彭老)는 고경명(高敬命) 휘하의 종사(從事)가 되었다.
월파 유팽로 도산사 내삼문
당시에 기호지방에 돌린 격문을 지었는데, 그 격문이 『정기록(正氣錄)』에 실려 있다.
호남의병들은 처음에 근왕(勤王)을 목적으로 북상하려 하였으나,
일본군이 전주를 침입하려 하자 금산에서 적을 맞아 싸우게 되었다.
전투에 앞서, 적의 수만의 병력을 오합지졸인 아군으로써는 감당하기 어려우므로,
험한 요지에 분거(分據)하였다가 적이 교만하고 나태해지기를 기다려 공격할 것을 제안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이 싸움에서 패전하였다.
월파 유팽로(月坡 柳彭老) 아군의 패전으로 적의 포위망을 일단 탈출하였으나
의병대장 제봉 고경명(霽峰 高敬命)이 아직도 적진 속에 있다는 말을 듣고
마부 김충남(金忠南)의 만류에도 말고삐를 놓지 않는 김충남(金忠南)의 양팔을 칼로 베고 다시 적진에 뛰어들어,
일단 고경명(高敬命)장군을 구출하였으나 끝내 분전하다 전사하고 말았으며,
결국은 고경명(高敬命, 1533~1592)장군도
그의 둘째 아들인 학봉 고인후(鶴峰 高因厚, 1561~1592)와 함께 순절하고 말았다.
이러한 사실이 조정에 알려져 대사간에 추증되었으며,
뒤에 광주(光州) 포충사(褒忠祠)와 금산 종용당(從容堂)에 제향되었으며,
후손이 없어 가장이 정리되지 못하다가
제봉 고경명(霽峰 高敬命)의 여섯째 아들인 청사 고용후(晴沙 高用厚, 1577~1648)선생이 행장을 찬 하였다.
유월파 장군 정렬각(柳月坡 將軍 旌烈閣)
忠臣 贈 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兼 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
行承仕郞成均館學諭 柳彭老之閭 天啟三年立
충신 증 통정대부승정원좌승지겸 경연참찬관춘추관수찬관
행승사랑성균관학유 유팽로지려 천계삼년립
烈婦 贈 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兼 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
行承仕郞成均館學諭 柳彭老妻 淑夫人金氏之閭 天啟三年立
열부 증 통정대부승정원좌승지겸 경연참찬관춘추관수찬관
행승사랑성균관학유 유팽로처 숙부인김씨지려 천계삼년립
애마가 물고온 장군의 머리(頭身)으로 빈소를 차려
3년상을 마치고 장군을 따리 자진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이 조정에 알려져 유팽로는 1623년 인조1년에 대사간으로 추증되고
정렬각(旌烈閣)과 삼강문(三江門)을 세워 신하를 보내 제(祭)를 지내게 하였으며.
부인 원주김씨에게도 그 뜻을 기려 정려(旌閭)를 내렸다고 한다.
月坡旌閭重修記
월파정려중수기
月坡柳公旌閭重修記
월파유공정려중수기
道山祠도산사
임진왜란 최초의병장 월파 유팽로 생가터 사랑채
//문화유씨 월파 유팽로(月坡 柳彭老) 가계//
증조부 유계손(柳季孫)
조부 유재(柳재)
부친 유경안(柳景顔)
월파 유팽로(月坡 柳彭老, 1554~1592)
배위 증 숙부인 원주김씨,
곡성-충의교위 사직 설백민(薛伯民), 설옥천(薛玉川) (0) | 2023.06.07 |
---|---|
곡성-귀래정 신말주(歸來亭 申末舟), 순창설씨 설옥천(薛玉川) (0) | 2023.06.06 |
곡성-의마총(義馬塚), 월파 유팽로(月坡 柳彭老) (0) | 2023.06.04 |
곡성-함허정(涵虛亭), 제호정 심광형(霽湖亭 沈光亨), 구암 심민각(龜巖 沈民覺) (0) | 2023.06.03 |
곡성-제호정 고택(霽湖亭 古宅), 군지촌정사(涒池村精舍), 훈도 제호정 심광형(霽湖亭 沈光亨) (0) | 2023.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