齊貞公 崔龍蘇 墓域 제정공 최용소묘역( ?∼1422(세종 4).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신흥리 산96
안성시향토유적 제34호
齊貞公 崔龍蘇 제정공 최용소( ?∼1422(세종 4)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강화(江華).
고려 공민왕 초에 의릉직(毅陵直)에 제수,
이후 감찰규정(監察糾正)·계림부판관(鷄林府判官)·이성등처관군만호(泥城等處管軍萬戶) 등을 역임하였다.
1370년(공민왕 19) 전라도체복사(全羅道體覆使)로 파견되어 민심을 위유하고,
같은 해 7월 환경하여 신돈(辛旽)을 먼저 본 뒤에 왕을 알현하여 장형(杖刑)을 받았으며,
고려 말에 공조전서를 역임하였다.
1394년(태조 3) 회례사(回禮使)로 일본 구주(九州)에 파견되어
구주절도사(九州節度使) 이미카와(令州了俊)에게 왜구를 토벌하여 양국의 우호를 도모하자는 국서를 전하고,
이마카와가 차견(差遣)한 승려 종구(宗俱)와 함께 피로인 570여 명을 대동하고 귀국하였다.
1397년 상의중추원사(商議中樞院事), 1398년 강원도도관찰사를 지냈다.
1400년(정종 2) 3군 도진무(都鎭撫)로 재직 중 방간(芳幹)의 모반에 연좌되어 하옥되었다가 방면되고,
곧 검교참찬문하부사(檢校參贊門下府事)에 좌천되었으며,
곧 방간의 당여로 재차 논죄되어 삭직, 장형을 받았으나, 태종이 즉위하면서 사면되었다.
1403년(태종 3) 승녕부윤(承寧府尹)으로 복직되고,
그 해 좌군총제(左軍總制)에 개수(改授)되고, 그 뒤 안동부사·개성부유후 등을 역임하였다.
1413년 형조판서로 한성부윤 김겸(金謙)과 함께 하정사(賀正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오고,
그 해 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414년 판한성부사가 되고, 이듬해 전라도의 조운책(漕運策)을 진언(陳言)하였다.
성품이 청백하면서도 절개가 굳고, 언행이 정중하였다.
일찍이 명나라에 들어가 옥하관(玉河館)의 건축을 감독하고 명성을 얻기도 하였다.
諡號는 제정(齊貞)이다.
조치원읍 봉산리에 그의 영정을 봉안한 봉산영당이 있다.
명나라 성조(成祖)는 최용소가 죽었다는 말을 듣고 그를 다시 볼 수 없음을 한탄하며
화공으로 하여금 그의 영정 2장을 그리게 하여
한 폭은 자신이 갖고 한 폭은 자손에게 주어 얼마전까지 봉상영당에 걸어 놓았다.
前判漢城府事 崔龍蘇卒記 전 판한성부사(前判漢城府事) 최용소(崔龍蘇)가 졸(卒)하였다. 용소는 강화(江華) 사람이니, 처음에 의릉(毅陵)의 능지기[陵直]에 임명되었다가, 여러 번 벼슬을 옮겨 감찰규정(監察糾正)에 이르러 계림 판관(鷄林判官)을 제수(除授)하였다. 사람됨이 청렴하고 근신하고 강개(慷慨)하여 치정(治政)이 여러 고을에서 우수하였다. 누니성(累泥城) 등 관군 만호(管軍萬戶)를 지나 공조 전서(工曹典書)로 전직(轉職)되었다가, 조선 태조(太祖) 2년에 명을 받아 구주 절도사(九州節度使) 원요준(源了俊)에게 보빙사(報聘使)로 가서, 사로잡혀 간 남녀 5백여 인구(人口)를 찾아서 돌아왔다. 7년에 강원도 도관찰사(都觀察使)에 임명되고 승녕부 윤(承寧府尹)과 개성부 부유후(開城府副留後)를 역임하였다. 태종 13년에 품계(品階)가 자헌(資憲)으로 올라가 형조 판서에 임명되고 공조 판서로 옮겼다가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로 천직(遷職)되었고, 이에 이르러 죽으니 조회(朝會)를 3일 동안 정지하고, 재정(齋貞)이라고 시호(諡號)를 내리니, 마음가짐의 엄정(嚴正)함이 재(齋)요, 청백(淸白)하고 절개를 지킴이 정(貞)이다. 아들은 최세렴(崔世廉)과 최세창(崔世昌) 둘이 있다. ○前判漢城府事崔龍蘇卒。 龍蘇, 江華人。 初補毅陵直, 累遷至監察糾正, 除鷄林判官, 廉謹慷慨, 政爲諸郡最, 累轉泥城等處, 管軍萬戶、工曹典書。 我太祖二年, 受命報聘于九州節度使源了俊, 刷被虜男婦五百餘口而還。 七年, 拜江原道都觀察使, 歷承寧府尹、開城府副留後。 太宗十三年, 進階資憲, 拜刑曹判書, 移工曹判書, 遷判漢城府事, 至是卒, 輟朝三日。 諡齊貞, 執心克莊齊, 淸白守節貞。 子世廉、世昌, |
判漢城府尹 贈諡齊貞崔公龍蘇之墓
판한성부윤 증시제정최공용소지묘
齊貞公 崔龍蘇 墓域 제정공 최용소묘역 후경
江華崔氏
1세 崔益厚최익후 江華崔氏始祖
2세 崔孝章최효장
3세 崔光義최광의
4세 崔瑾최근
5세 崔宗秀최종수
6세 曾祖父 崔蕤최유
7세 祖父 崔伯全 최백전
8세 父 崔泓 최홍
9세 齊貞公 崔龍蘇 제정공 최용소
長子 崔世昌최세창—
孫 崔福海최복해—
曾孫 崔延年최연년—崔淳최순,崔澳최오,崔潾최린,崔滉최황
崔延命최연명(군수공)--崔沄최운
次子 崔世廉최세렴--崔淑최숙
=======================================================================================================================================================
제정공 묘역 뒷편 숲속의 묘비???--- 贈貞夫人崔氏之墓
==============================================================================================================================================================================================================================================================================================================
齊貞公崔龍蘇 曾孫子 牙山縣監 崔延年墓域
제정공최용소 증손자 아산현감 최연년묘역
牙山縣監江華崔公延年 淑人漢山李氏 之墓
아산현감강화최공연년 숙인한산이씨 지묘
原從功臣通訓大夫 行牙山縣監兵馬節制都尉崔公墓道碑
원종공신통훈대부 행아산현감병마절제도위최공묘도비
안성-효헌공 홍명호(孝憲公 洪明浩). 경기유형문화재 제24호 (0) | 2016.09.18 |
---|---|
안성-영창대군. 경기도기념물 제75호 (0) | 2016.09.14 |
안성-서운산 청룡사 (0) | 2016.09.08 |
안성-석남사, 마애여래입상 (0) | 2016.09.08 |
안성-홍계남장군고루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1호 (0) | 2016.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