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서시랑평장사 문경공 계림 고조기(文敬公 鷄林 高兆基)
제주도기념물 제38호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동 2464번지
고씨선영재궁지
지방문화재기념물 제38호
문경공 고조기(文敬公 高兆基)
본관은 제주. 號는 계림(鷄林). 초명은 고당유(高唐愈)이다.
고을나(高乙那)의 48세손이며 고자견(高自堅)의 3세손이고 아버지는 우복야右僕射 고유(高維)이다.
1107년(예종 2)에 과거에 급제하였고 남쪽 고을의 수령으로 부임하여 청백하게 공무를 보았다.
1130년(인종 8) 시어사(侍御使)로 재임할 때
이자겸(李資謙)에게 영합한 관리에 대한 처벌을 주장하다가 공부원외랑(工部員外郞)으로 좌천되었다.
다시 대관(臺官)이 되어
이자겸의 잔여 세력에 대한 처벌을 여러 자체 제기하였으나 예부낭중(禮部郎中)으로 전직되었다.
1147년(의종 1) 수사공상주국(守司空上柱國)이 되었고,
1148년(의종 2)에는 정당문학판호부사(正堂文學判戶部事)가 되어
지공거(知貢擧)로서 25인의 급제자를 선발하였으며,
권판병부사(權判兵部事)와 참지정사판병부사(參知政事判兵部事)를 지낸 후
1149년(의종 3)에 정2품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서 판이부사(判吏部事)를 겸임하게 됨으로써
제주 출신 최초로 재상직에 올랐다.
이 무렵 왕의 총애를 받던 내시 김존중(金存中)에게 영합하였다는 이유로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로 좌천된 적도 있었으나, 다시 중서시랑평장사로 복직하였다.
1150년(의종 4) 12월 인사에서는 아상(亞相)으로 물러났고,
1151년(의종 5) 4월에는 아상인 판병부사에서도 밀려났다.
그의 작품으로 〈진도벽파정 珍島碧波亭〉이라는 시가 전한다.
바닷가 하늘 구름 기운 휘당에 얽혀 어지럽고 / 海天雲物亂麾幢
흰 물결 제 몸을 치며 공중에서 뒤집히네 / 白浪翻空自擊撞
기억나누나 적선의 시 속의 일 / 記取謫仙詩裡事
태풍으로 사흘이나 강 건너지 못했었지 / 惡風三日阻橫江
석양에 조수 빠지면서 물결 다시 일렁일렁 / 日落潮回浪勢生
잠긴 용 뛰어오르듯 해구(海口)가 온통 들썩들썩 / 魚龍踊躍海門傾
영서가 성낸다고 그 누가 말하는가 / 何人道是靈胥怒
물살 급하고 바람 뒤집혀 절로 편안치 못한 거지 / 水急風顚自不平
바다 햇빛 뉘엿뉘엿 돌아오는 배 그림자 / 海日斜明帆影回
그 정경 애다로워 벽파정을 서성이네 / 碧波亭上爲徘徊
저 멀리 자라 등 삼산의 모습 가물가물 / 三山雲物鰲邊迥
만리장성 바람 소리 기러기 타고 몰려 오네 / 萬里風聲雁背來
하늘가 햇발 가없는 바다 쏘아대고 / 天邊日脚射滄溟
구름 저 멀리론 점점이 나뉜 푸른 섬들 / 雲際遙分島嶼靑
저녁 나절 급해지는 창합풍 소리 / 閶闔風聲晚來急
엎치락 뒤치락 바다 물결 벽파정에 부서지네 / 浪花翻倒碧波亭
뒤죽박죽 엉킨 구름 폭풍에 말려 올라가고 / 亂雲顚倒卷狂飆
저녁 바다 순식간에 은빛 산맥 일으키네 / 轉眄銀山滾晚潮
이 모두가 변덕떠는 비렴의 소치 / 儘被飛廉軒輕得
양후 혼자 어떻게 교만 부리리 / 陽侯未可自虛驕
高麗中書侍郞平章事上柱國 文敬公 高兆基 墓碑
고려중서시랑평장사상주국 문경공 고조기 묘비
高麗國朝 中書侍郞 髙公兆基墓 同平章事
고려국조 중서시랑 고공조기묘 동평장사
상예문
성주전
왕위전
耽羅國王世碑
탐나국왕세비
탐라성주열성비
//제주고씨 문경공 계림 고조기(文敬公 鷄林 高兆基) 가계//
증조부 탐라국주 고자견(高自堅)
조부 고말로(高末老), 제주고씨 중시조
아버지 우복야 고유(高維)
숙부 개성부총독 고소(高紹)
중서시랑평장사 문경공 계림 고조기(文敬公 鷄林 高兆基)
장남 고정호(高挺琥) 早卒
차남 사부상서 고정익(髙挺益)
손자 병부상서 고적(髙適)
증손자 고여림(髙汝霖)
현손 중추원부사 지신사 고정간(髙貞幹)
제주-감사공 강영(康永), 영암 강영, 신천강씨 제주 입도조, 강윤휘(康允暉),강정(康禎),강복(康福),강만(康萬), 조천서원 묘정비 (0) | 2018.07.11 |
---|---|
제주-김윤조(金胤祖), 광산김씨 제주 입도조 김윤조, 김견노(金堅老) ,김치남(金致南), 김계충(金繼忠) , 영광부사 김수(金須) 장군, (0) | 2018.07.10 |
제주-삼성혈三姓穴, 모흥혈(毛興穴), 사적 제134호 (0) | 2018.06.23 |
제주-관덕정(觀德亭),호남제일정,탐라형승, 제주목관아, 우련당,홍화각,망경루,귤림당,연희각,영주협당,탐라포정사 (1) | 2018.06.23 |
제주-천제연폭포天帝淵瀑布 , 선임교, 제주4.3 위령자비, 천제루 (0) | 2018.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