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강서원(汾江書院)
경북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 602
분강서원 汾江書院(1699년-현재) (부속 농암사당 -경상북도 유형문화재31호)
분강서원(汾江書院)은 1699년 후손과 사림이 농암선생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세웠다.
말하자면 조선시대 사립대학이라 할 수 있다.
강당 흥교당은 교실이며, 흥교당에 딸린 방 성정재는 교장실이며,
동재는 학생 기숙사, 서재는 교무실 겸 선생님 방, 한속정사 건물은 행정실이라 보면 된다.
지금 분강서원은 창원일기(創院日記), 복원일기(復元日記), 분강영당영건소계첩(汾江影堂營建所稧帖),
영정개모일기(影幀改摹日記), 임사록(任司錄), 전장기(傳掌記), 부조기(扶助記), 청선액소(請宣額疏),
진설도(陳設圖), 홀기(笏記) 등 많은 자료가 남아 있어 서원창건과 운영 사항을 잘 알 수 있다.
구조는 위패를 모신 숭덕사(崇德祠)를 비롯하여 강당인 흥교당(興敎堂)과 성정재(誠正齋),
동재인 극복재(克復齋), 서재인 경서재(敬恕齋), 그리고 고직사(庫直舍)로 되어있다.
편액은 성세정(成世珽), 상량문은 한양인 옥천 조덕린(玉川 趙德隣)이,
봉안문은 광산인 동리 김화(東里 金璍), 분강서원기(汾江書院記)는 인동인 금강 장진(錦江 張璶)이 썼다.
광산인 단산 김종구(檀汕 金鍾九)는 분강서원제향을 참석한 후 다음과 같은 소감문을 적었다.
"아! 우리 효절공 농암 이 선생은 국가의 동량이었다. 3조정을 거치면서 왕실을 보좌하여 태평세월을 이루었다.
벼슬은 정승에 올랐다. 시골로 은퇴하여 재야재상이 되었지만 강호자연을 사랑하는 마음뿐이었다.
당시 퇴계 이 선생이 도산에서 강학하며, 선생을 선진장덕(先進長德)으로 존경하여 많은 왕복 시문을 남겼다.
퇴계선생이 애일당에 올라 시를 지은 것이 있으니,
高臺新曲賞深秋 고대 새 구비에서 가을을 감상하고,
手折黃花對白鷗 손으로 국화를 꺾으면서 갈매기를 마주한다.
仰德至今淸夜夢 덕을 우러러 본 지금 맑은 밤 꿈결같이,
月明時復到中洲 밝은 달이 다시금 물속에 떠오른다.''
읇으니 완연히 농암선생의 도학풍절이 백세사표가 되고,
하늘이 강호의 뜻으로 기르려고 함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런데 전에는 효절공의 분강서원이 있었으나
유감스럽게도 지난 무진년에 국법으로 훼철되어 잡초 우거진 황폐한 터전이 된지 이미 100여 년이 되었다.
지난봄에 선생의 종손 이용구(李龍九)가 이를 탄식하며 향중에 발의하여 사림이 새로 서원과 사당을 복원했다.
서원은 넓고 아름다워 선생의 초상화를 봉안하고
해마다 향사를 치르니 자손이 그 근본에 보답하는 정성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선생의 도를 잇고 그 찬연함을 다시 세상 사람들에게 밝히게 되었다.
종구는 부족한 사람이지만 감회가 없지 않아, 삼가 시 한 수를 지어 백세의 고경한 사상에 붙여두고자 한다."
분강서원 흥교당(興敎堂)
서원의 강당으로 사용하던 곳으로 현재는 농암종택 템플스테이에 사용되고 있다.
경서재(敬恕齋)
극복재(克復齋)
농암사당(聾巖祠堂)
숭덕사(崇德祠)
농암신도비(聾巖神道碑)
(경상북도 유형문화재자료 64호)
1566년에 건립한 농암신도비는 퇴계의 추천으로
영의정과 대제학을 역임한 인재 홍섬(忍齋 洪暹)이 글을 짓고
당대 최고의 명필인 여성군 이암 송인(礪城君 頤庵 宋寅)이 글씨를 썼다.
안동에서 구하기 어려운 대리석 재질에 천각(淺刻)으로 새기어져
농암신도비는 500여년이 지난 아직도 거의 한 글자도 마모되지 않은 일품의 비석이라 한다.
농암이현보신도비명(聾巌李賢輔神道碑銘)
문화재자료 제64호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 602번지
지중추부사 증시효절이공신도비명(知中樞府事 贈諡孝節李公神道碑銘)
유명조선국숭정대부행지중추부사 증시효절이공신도비명 병서
(有明朝鮮國崇政大夫行知中樞府事 贈諡孝節李公神道碑銘 幷序)
예로부터 인신은 벼슬을 이루고 명망이 선뒤에는 몸을 거두어 한적한 곳에 물러나 있고 싶으나
대개 자유로이 하기 어려워 구차하게 용납함을 구하였다. 그 덕은 완악한 자가 청렴하여지고
나약한 자가 서게 되며 나이가 족하면 나라에 대로가 되고 고향 언덕과 동산에 쓸쓸히 한산하게 거닐고
만절(晩節 만년)을 보전함은 근세에 구해 보니 오직 효절(孝節) 이공 한 사람 뿐이다.
공의 이름은 현보(賢輔)요 자(字)는 비중(棐仲)이다. 그 선조는 영천(永川)인이다.
휘(諱) 이헌(軒)이 처음 예안(禮安) 현에 이거하여 드디어 현인(縣人)이 되었다.
벼슬은 군기소윤(軍器少尹)인데 공에게 고조(高祖)가 된다.
소윤이 휘(諱) 이파(坡)를 낳았으니 의흥(義興)현감이고
현감이 휘(諱) 이효손(孝孫)을 낳으니 통례문 봉례(奉禮)이며
휘(諱) 이흠(欽)을 낳았으니 인제(麟蹄)현감이다.
현감이 호군 권겸(權謙)의 따님에게 장가들어 성화(成化) 정해년(1467년) 7월 29일에 공을 낳았다.
처음에 봉례공이 일찍 산사에 노닐다가 꿈에 신인(神人)이 고하여 말하되 적선(積善)의 집에 반드시
나머지 경사가 있다고 하였다. 잠을 깬 뒤에 권씨 며느리가 아들을 낳았다는 것이다.
마음이 이상한 까닭으로 공의 어릴 때 이름을 유경(有慶)이라 하였다.
공이 나서부터 재지가 뛰어나서 골상이 비범하고 뜻이 호탕하여 구애됨이 없고
자못 활쏘고 사냥하기를 좋아하여 학문에는 전력하지 아니 하였다.
향교에 유학할 때부터 비로소 발분(發憤)하여
글을 읽고 문장을 짓게 되니 글을 짓는데 뛰어나서 여러 무리 가운데 중하게 되었다.
문광공(文匡公) 허백당 홍귀달(虛白堂 洪貴達)에게 수업하니 문광이 그의 기국(器局)을 중히 여겼다.
을묘년(1495년)에 진사에 합격하고 무오년(1498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처음 교서관 정자(正字)가 되고 신유년(1501년)에 예문관 검열(檢閱)에 추천되었다.
처음 사필을 잡고 국사를 쓰는데 구차하지 아니하였다.
임술년(1502년)에 공이 연산주(燕山主)에 계달하여 말하되 사관은 인주(人主 임금님)의
언동을 기재하는데 멀리 엎드려 있으니 청하건데 임금 앞에 가까이 있어 기주(記注)하는데
소루하고 빠짐이 없도록 하여야 합니다 하니 폐주가 마음에 언잖이 여겼으나 허락하였다.
갑자년(1504년)에 성균관 전적에 올라 시강원 사서, 사간원 정언이 되어 서연관(書筵官)의 잘못을 말하니
이때 연산주가 언관(言官)을 원수같이 보아 이로 인하여 그만 화가 나서 말하되 “간관들은 일이 있으면
즉시 계달하지 어찌 늦추어 하루를 넘기는고?”하고
의금부에 내리고 마침내 안동의 안기역(安奇驛)에 유배를 시켰다.
병인(丙寅 1506)년에 중종대왕이 반정하여 공이 배소에서 일어나 호조좌랑을 받고 사헌부 지평에 올랐다
곧아서 권세에 힘쓰지 않아서 때에 사람들이 ‘소주도병(燒酒陶甁)’이라 칭호하니,
대개 바깥은 검은 듯하나 안으로는 맑고 맵다는 말이다.
무진년(1508년)에 어버이가 늙음으로 형조정랑에서 영천(永川)군수로 나갔다.
계유년(1513년)에 만기가 되어 들어와 군자첨정이 되었다. 갑술년(1514년)에 나가
밀양(密陽)부사가 되어 잘 다스려 백성에 끼친 사랑이 컸었다. 을해년(1515년)에 파면되고
병자년(1516년) 겨울에 선공부정(繕工副正)을 제수 받고 겨울에 충주(忠州)목사로 나갔다.
정축년(1515년)에 조정에서 가까이서 그 어버이를 편하게 봉양하라고 안동으로 바꾸어 주었다.
공은 백성을 교화하는 근본이 학교가 제일이라 하여 선비들을 크게 모아
공궤를 넉넉히 하니 원근에서 모여들어 향교가 다 용납지 못하였다.
조정으로 들어와 사복시 정(司僕寺正)이 되고 사헌부 집의로 옮기고 군자감 부정으로 바뀌었다.
얼마되지 않아 성주(星州)목사로 나가니 임금이 공이 가는 곳에 정치가 아름답다하여
표리(의복)를 주시고 유서로 표장하였다. 을유년(1525년)에 부모님 봉양으로 사직하고 돌아왔다.
병술년(1526년)에 시강원 보덕에 제배되었고 정해년(1527년)에 특별히 통정대부로 품계가 오르고
병조참지가 되었다가 곧 동부승지가 되었다. 무자년(1528년)에 좌천이 되어 대구(大邱)부사가 되었다.
얼마 후 벼슬을 버리고 돌아왔다. 기축년(1529년)에 영천군수가 되었다가
신묘년(1531년)에 외간(外艱)상을 만났다가 계사년(1533년)에 복을 마치고 형조참의를 제배받고
다시 홍문관으로 들어가 부제학이 되었다가 우부승지로 옮겼다.
갑오년(1534년) 봄에 경주부 윤으로 나가서 폐해를 없애고 간소화하여 다스린 효과가 더욱 드러났다.
병신년(1536년)에 부모님의 연세가 더욱 높아서 벼슬을 두고 돌아와 봉양하였다.
겨울에 예조 참의로 불렀으나 가지 않았다 발탁이 되어 가선대부 경상도 관찰사를 제수받았다.
공은 본도는 친구들이 있는 바이나 감사는 풍헌(風憲)을 겸하는 것이니 사사로이 뵙는 것을 허락한다면
법이 문란하여질까 하여 엄하게 막으니
자제와 친구들이 감히 공관(公館)에 오지 아니하고 일도(一道)가 숙연해졌다.
정유년(1537년)에 어떤 일로 파면되었다가 내간(內艱)상을 당하였다.
공은 이때 연세가 71세인데 오히려 여러 아우를 데리고 여묘(廬墓) 3년을 하다가
기해년(1539년)에 복을 마치고 형조참판에 제수되었다.
공이 본래 물러가 쉬려는 뜻이 있었더니 경자년(1540년) 가을에 이르러 글을 올려 몸을 빌었으나
허락을 아니 하시어 초정(椒井)에 목욕을 청하였다.
때에 나의 선군인 문희공(부친:문희공 묵재 홍언필,文僖公 默齋 洪彦弼)이 정승이 되어
공이 다시 오지 않을 것을 알고 머물러 두기를 청하니 임금이 인견(引見)하시고
속히 돌아오라 명령하니 이로써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겨울에 호조참판에 옮겼다.
임인년(1542년) 봄에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가 가을에 또 병으로 목욕을 청하고 배 삯을 주고 돌아오니
일시에 진신(縉臣)들이 의정 이하로부터 도성 문 밖에 나와 전별하니 천막이 한강까지 뻗쳤고
수레가 꽉차게 되니 보는 사람이 근고에 없었던 일이라 하였다.
계묘년(1543년)에 중종대왕이 공의 염퇴(恬退 벼슬을 사직함)를 가상히 여기시어
특별히 지중추부사를 주시고 선세를 추증하여 황고(皇考)를 의정부좌참찬을 주시고
모부인(母夫人)을 정부인(貞夫人)에 조부(祖父)를 이조참판에 증조(曾祖)를 병조참의를 주시었다.
을사년(1545년)에 인종대왕이 즉위하시니 공이 노병으로 조정에 못가시고,
소를 올려 청하기를 “대략 정치의 요령은 사람을 얻는데 있으니 임무를 맡기는 처음에 밝음으로써
변별하여야 하며 임명 후에는 믿음으로 맡겨야 합니다. 선왕께서 어진 이를 좋아하시고
선비를 즐거이 하였으나 혹 어진 이와 간사한 무리가 서로 섞이고 임용이 마치지 못하였으니
이것은 전하의 이목에 미친 바입니다.
힘써서 삼가 어렵기는 하지만 하나로 화하는 것을 신정의 요령으로 삼아야한다” 하였으니
보는 자가 깊이 노성 한 분이 임금께 고하는 체통을 얻었다 하였다.
임금이 아름답게 여겨 특별히 자헌의 품계로 올려 포상하였다.
이 해 가을에 인종이 승하(昇遐)하시니 공이 시골에 있었는데 두 임금이 계속 돌아가시니
상을 듣고 슬픔을 부르짖어 수레로 빨리 부임하려 하시니
자제들이 공의 쇠병이 심하다하여 힘써 만류하여 그만두게 하였다.
명종 기유년(1549년)에 찬성 김광준(金光準)이 절의(節義) 포장(襃獎)을 청하여 정헌(正憲)의
품계를 주시고 이 해에 나라에서 우로지전(憂老之典)이 있어 또한 숭정(崇政)의 품계를 주셨다.
갑인년(1554년)에 한 간관이 계달하여 말하기를
“이모(李某 이현보)는 나라의 기덕(耆德)이요 정력(精力)이 쇠하지 않았으니
진실로 불러오면 반드시 선을 취하고 악을 버림의 유익이 있을 것입니다” 하였다.
임금이 글을 내려 아름다움을 포장하시고 역마를 타고 조정으로 오게 하니
공이 포장하시는 말씀이 지나침을 황구하게 여기고 글을 올려 사양하시고 또 소에 말하기를
"선과(禪科)의 복설(復設)과 사원(寺院)의 수선(修善)이
전하의 선에 향하는 마음이 간단(間斷)한 바가 있는 것 아닙니까?" 하였다.
사의가 절실하여 시골에 있어도 임금을 잊지 않는 충성은 늙어서도 더욱 돈독하였다.
을묘년(1555년) 5월에 병이 들어 6월 13일에 정침(正寢)에서 돌아가시니 향년이 89세였다.
부음이 조정에 올라가니 상이 놀라서 슬퍼하시고 좌우에 이르러
“여러 번 불러도 오지 않더니 지금은 그만이다고 하시고
내가 심히 슬프고 비통하구나 부의를 더 주도록 하라” 하였다.
이 해 8월 28일에 현(縣)의 북쪽 용두산(龍頭山) 남쪽 도곡(道谷) 선영 아래에 장사 지냈다.
공의 천성이 효도하고 우애하여 봉양에 급하였다. 조정에 나아가 임금을 섬김에 은혜를 돌봄이
쇠하지 아니하였고 한가하기를 빌어 목욕을 청하고 잇따라 소장을 올리니 조정에서도
또 그 지정(至情)을 알고 그 뜻에 순하게 쫓음으로 군수로 봉양케 한 것이 여덟 고을이며
분천(汾川)에 살면서 그 위에 집을 지어 ‘애일당(愛日堂)’이라하고 어버이를 받들어 위안하여 노시고
그 바위는 농암(聾巖)이라 하여 자기의 생각을 사물에 비하여 은근히 나타냈다.
일찍이 부제학으로 근친하여 오니 이 때 참찬(參贊)공의 나이 94세요
숙부(叔父) 균(鈞)의 나이 92세이고 외숙 첨지 권수익(權受益)이 82세이고
또 향인 중 나이 높은 사람 6인을 모아 구로회(九老會)를 만들었고 자손이 앞에 가득하고
공이 채색 옷으로 춤을 추니 영광스런 효도의 성함이 보고 듣는 자로 하여금 움직이게 하였다.
어버이가 이미 돌아 가셔도 상장(喪葬)의 비용은 여러 아우에게 돌리지 아니 하시고
문족(門族)의 곤궁한 자가 있으면 힘써 도와주어서 혼인에 때를 잃지 않게 하고 때로
임금의 하사품이 있으면 인척에 나누어 주었다. 가득히 찼는지 깊이 경계하며 일급이라도 올리면
놀란 듯이 불안해하였다. 일시에 3자가 세 고을로 봉양하는 것을
도리어 근심하여 영광으로 생각하지 아니하고 복용(服用)이 간소 검박하여 공경하고 삼간으로 지내고
비록 평상시에도 반드시 새벽에 일어나서 세수하고 의관(衣冠)을 바르게 하고 종일 주렴 안에서
의지하며 춥고 덥더라도 폐하지 아니하고 남을 위하여 부지런하고 자기를 위해서는 졸(拙)하고
성품이 고상 개결하나 남을 대접 하는 데는 정성으로 하여 어리석고 천한 사람에게도 빠지지 않고
술과 음식으로 청하면 억지로 사양하지 않으니 향당 사람들이 모두 애모하여 부형과 같이 보더라도
시골에 살면서도 사적인 일을 공공에 범하지 않았다.
본현(本縣)은 백성도 적고 고을도 피폐하여 1호당 한 사람이 나오게 되니 폐단을 구제할 수가 없었다.
공이 창의(倡義)하여 8결(結)에 1명씩 나오게 하니
세금이 가볍고 부역이 고르게 되어 백성이 모두 편리하였다.
일을 헤아림에 밝게 살피고 만일 의심이 있으면 허심탄회하게 물어보고 자신의 과실이 있다면
남에 대하여 감추지 않으니 사람이 공의 공직한 도량에 감복하였다. 담박(澹泊)하고 욕심이 적어
명성과 이익을 생각지 아니하고 집 주변에 작은 당(堂)을 지어 명농(明農)이라 일컫고
벽에 도잠(陶潛 도연명)의 귀거래도(歸去來圖)를 붙이니 사람들이 공의 뜻을 알았고
치사(致仕)할 연령이 넘어 예법을 따라 힘껏 사양하였으나
조정에서 공의 근력 이목이 쇠퇴하지 않으므로 체직할 수 없다하였다.
공은 몸이 물러 나와도 벼슬살이로 인순(因循 옛습관을 고치지 못하고 우물거림)하여 지나가면
끝내 이룰 수 없을 것이니 이것이 신하의 진퇴 의리가 아님을 생각하고
경자(庚子)년 이후로 물러날 것을 구하여 그치지 않고 반드시 물러나기를 기대하였다.
기어이 물러 나와서 14년을 지냈으나 애군우국(愛君憂國)은 진퇴가 다르지 아니하였고
그 심신은 이미 한가하여 더욱 계산을 즐기며 죽장망혜(竹杖芒鞋)로
언덕과 숲을 찾으니 농부와 소먹이가 만나도 재상인지 몰랐다.
작은 배를 타고 임강사(臨江寺)를 왕래하여 서식(栖息)하는 곳으로 삼으니
풍신(風神)이 탈속하였고 운치가 조용하였다. 술이 약간 취하면 시아(侍兒)로 하여금
어부사(漁父詞)를 부르게 하고 초연히 세상일을 잊어버리고 독립하는 생각이 있었다.
시를 지어도 뜻이 청신하여 소년의 생각이 미칠 수 없었다.
임종(臨終)에 모든 아들이 호읍(號泣)하니
공의 말이 “내 나이 90이고 너희들이 모두 있고 국은(國恩)을 후히 받았으니 죽어도 유감이 없다.
초상을 검약하게 하고 장사는 시기를 넘기지 말라”하고 말을 마치고 가시었다.
공은 안동 권씨 충순위(忠順衛) 권효성(孝誠)의 따님에게 장가들어 6남 1녀를 낳으니
장자는 이석량(碩樑)인데 요절하였고 다음은 이문량(文樑)인데 평릉도(平陵道) 찰방이고
다음은 이희량(希樑)인데 봉화(奉化)현감이고,
다음은 이중량(仲樑)인데 갑오(甲午)년에 문과에 올라 승지가 되고 바야흐로 우뚝한 이름이 있다.
다음은 이계량(季樑)인데 의흥(義興)현감이고, 다음은 이숙량(叔樑)인데 진사이다.
딸은 군수 김부인(金富仁)에게 갔다. 측실에서 2남을 낳으니 이윤량(閏樑)은 태의(太醫)가 되었고
다음은 이연량(衍樑)이다. 이문량은 이승손(李承孫)의 따님에게 장가들어 1남 3녀를 낳았으니
아들은 이원승(元承)이다. 장녀는 황준량(黃俊良)에게 시집갔고,
다음은 금응세(琴應洗), 다음은 김기보(金箕報)에게 시집갔다.
이희량은 황정(黃珽)의 따님에게 장가들어 2남 1녀를 낳으니
아들은 이선승(善承), 이극승(克承)이며 딸은 송복숭(宋福崇)에게 시집갔다.
승지는 습독(習讀) 반사형(潘士泂)의 따님에게 장가들어 1남을 낳으니 이영승(令承)이다.
이계량은 김옥견(金玉堅)의 따님에게 장가들어 1남 2녀를 낳았다.
아들은 이광승(光承)이고 큰딸은 양한신(楊漢臣), 차녀는 임균(任鈞)에게 시집갔다.
이숙량은 이복신(李復新)의 따님에게 장가들었다.
군수 김부인이 4남을 낳으니 이호(壕), 이전, 이탄(坦), 이기(圻)이다.
승지(承旨) 공이 이미 면상(免喪)하고
퇴계 지사(知事) 이황(李滉)이 지은 행장을 가지고 나에게 신도(神道)의 비문을 지으라 부탁하니 슬프다.
공이 내 선인과 동년(同年) 사마시(司馬試)이고
공이 옥당(玉堂) 장관 때 내가 박사로 더렵혔고 편달하기를 오래하였으니 의로서 감히 사양할 수 없고
하물며 퇴계가 공의 심사(心事)를 지어 자세히 하였고 또 다하였으니
그 말이 족히 후세에 믿을만한 까닭으로 서문은 퇴계의 글을 쓰고 이어 명을 지었다. 명(銘)에 이르기를,
아름다운 덕이 사람이 있는데 효보다 앞서는 것이 없다.
공이 효를 다하였으니 증자와 민자건을 이을 것이다.
귀한 것이 벼슬이 아닌데 벼슬이 와서 나를 얽매었네.
몸은 물러 나와도 벼슬은 높혔으니 남이 나를 버리지 아니하였다.
90을 모(耄)라 하니 성인도 반드시 두지 못하였는데
공이 능히 누렸으니 하늘이 부여한 것이 심히 후하였다.
덕과 벼슬과 나이를 달존(達尊)이라 하였는데
이 세 가지를 겸하였으니 예전부터 있기 드물었다.
명농당(明農堂)이 있으니 내가 갈고 매는 것이 즐겁다.
바위를 농(聾)이라 불렀으니 알고 듣는 것을 단절할까 하였다.
양조(兩朝 중종, 인종)에 상소를 올려 요순시대를 기약하였고,
충성은 효도로부터 말미암아 이루어지는 것이니 내 어찌 임금을 잊을손가
임금께서 노성을 생각하여 예로 부르기를 부지런히 하였다.
창생(蒼生)을 어찌 하는고 앞길이 저물어 간다.
정성은 애일당(愛日堂)에 있으니 효도에 게으른 자가 본받아야 하며,
명성과 이익은 더럽힐 듯하니 나아가기를 즐기는 자가 부끄러운 것이다.
나약한 자가 서게 되고 완악한 자가 청렴하게 되니 돌아가신 후에 청풍(淸風)이 남았다.
돌에 사실을 기재하여 무궁토록 밝게 빛나게 한다.
가정(嘉靖) 45년 병인(丙寅) 2월 일
숭록대부 의정부 좌찬성 겸 지경연사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 지 춘추관 성균관사 강녕군 홍섬
崇祿大夫 議政府左贊成 兼 知 經筵事弘文館 大提學 藝文館大提學 知春秋館 成均館事 江寧君 洪暹
봉헌대부 여성군 송인(奉憲大夫 礪城君 宋寅)
경헌공 인재 홍섬(景憲公 忍齋 洪暹) 짓고
문단공 여성군 이암 송인(文端公 礪城君 頤庵 宋寅) 쓰다
//영천이씨 효절공 농암 이현보(孝節公 聾巖 李賢輔) 가계//
9대조 신호위대장군 영양군 이대영(李大榮)
고조부 군기시소윤 이헌(李軒), 안동입향시조 묘소 녹전면 서삼리
증조부 의흥현감 이파(李坡)
증조부 예문관직제학 이오(李塢)
조부 통예문봉례 이효손(李孝孫, 1404~1487)
부친 인제현감 이흠(李欽, 1440~1537)
모친 안동권씨, 호군 권겸(權謙)의 따님
효절공 농암 이현보(孝節公 聾巖 李賢輔, 1467~1555)
배위 증 정경부인 안동권씨, 충순위 권효성(權孝誠)의 따님
장남 이석량(李碩樑) 조졸
차남 평릉도찰방 벽오 이문량(碧梧 李文樑, 1498~1581)
삼남 봉화현감 호암 이희량(虎巖 李希樑, 1501~1565)
사남 강원감사 하연 이중량(賀淵 李仲樑, 1504~1582)
오남 거창현감 환암 이계량(串巖 李季樑, 1508~ ? )
육남 내의원판사 행암 이윤량(杏巖 李閏樑, 1516~1589)
칠남 왕자사부 의병장 매암 이숙량(梅巖 李叔樑, 1519~1592)
팔남 사복시정 이연량(李衍樑)
녀 병사 산남 김부인(山南 金富仁), 탁청정 김유((濯淸亭 金綏)의 아들
동생 훈련습독 광헌 이현우(廣軒 李賢佑, 1470~1560)
조카 영해교수 이충량(李忠樑) 이수량(李遂樑)
손자 간재 이덕홍(艮齋 李德弘)---계문고제(溪門高弟)
안동-고산정(孤山亭), 경북 유형문화재 제274호 (0) | 2022.12.03 |
---|---|
안동-애일당(愛日堂), 강각(江閣), 농암선생정대구장(聾巖先生亭臺舊庄) (0) | 2022.12.02 |
안동-농암종택(聾巖宗宅), 효절공 농암 이현보(孝節公 聾巖 李賢輔) (1) | 2022.11.26 |
안동-문충공 서애 류성룡(文忠公 西涯 柳成龍), 서애집(西厓集), 징비록(懲毖錄), 서애 유성룡(西涯 柳成龍) (0) | 2022.11.24 |
안동-의성인 참봉 김축(金軸), 김유(金柚) (0) | 2022.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