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천학정(天鶴亭)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천학정길 10, (교암리 177-10)
천학정 표지석과 정자로 오르는 계단의 표지석 ‘천학정’
2005년 11월 27일에 세운 것으로 글씨는 함형구(咸炯仇) 전 고성군수의 글씨이다.
척학정(天鶴亭)은 1931년 토성면의 유지 차봉 한치응(次峰 韓致鷹, 1888~1976)의 발기로
오봉 한치용(午峯 韓致龍), 양호 윤태형(良湖 尹泰衡), 해은 최순문(海隱 崔淳文),
운사 김성운(雲史 金成運), 국헌 황영수(菊軒 黃永守) 등이 함께 발의하여 건립하였다.
정자의 전면에는 모암산인(茅菴山人)의 천학정(天鶴亭)현판이 있고
바위벼랑에 우뚝 세워진 천학정 주변에 60~70년생 소나무와
희귀종의 식물들이 어우러져 숲을 이루고 바닷가엔 깍아 지른듯한 해안절벽과 기암괴석,
바다에는 크고 작은 섬(바위)들이 물위로 떠올라 부서지는 하얀 파도의 포말이 더욱 아름다워
나그네의 발길을 묶어 놓는 천혜적인 자연의 조화로움의 완성된 경치이다.
남쪽으론 아야진 항구의 등대가 한눈에 들어오고 청간정(淸澗亭)을 마주보고 있으며
북쪽으로 토성면(土城面)과 죽왕면(竹旺面)을 경계로 흐르는 문암천(文岩川) 하구와
문암2리 능파대(凌波臺)와 죽도가 가까이 있어 경관의 아름다움을 더 해주고 있는데
상하천광(上河天光)으로 “거울속에 정자가 있다”하여 천학정(天鶴亭)이라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정자의 전면에 모암산인 윤양희(茅菴山人 尹亮熙, 1943~)의 천학정(天鶴亭)현판이
天鶴亭記 천학정기
昭和五年春三月上浣 午峯 韓致龍 識
소화5년 춘3월 상완 오봉 한치용 지(1920년~1921년 토성면장 역임)
"1931년 3월 10일에 건립한 〈천학정 기문(記文)〉에 따르면
마을유지 최순문, 김성운과 함께 발의하여
전면 2칸, 측면 2칸 겹처마 팔작지붕의 단층으로 정자를 건립하였다고 한다.
1931년 4월 22일에 쓴 김병종의 ‘북유록(北遊錄)’에 의하면
길가 옆으로 천학정이 있는데 청간정 보다는 절경이 좋다고 하며,
이 마을사람 오봉 한치용(午峯 韓致龍)과 함께 올라 구경하였다고 적고 있다
면장 한치룡 영세기념비(面長韓致龍永世記念碑)
토성면 교암리에 있는 '천학정(天鶴亭)'으로 들어가는 입구 오른쪽에 자리하고 있다.
비는 자연 암석의 평편한 윗면에 홈을 파서 세웠다.
비의 전면에는 "면장한공치룡영세기념비"라 각자되었으며,
후면에는 "단기사이오삼년 경신팔월 일 교암송계"라 음기하여
1920년에 이 지역 계원들에 의해 건립되었음을 밝혀주고 있다.
한치룡의 호는 오봉(午峯)으로 '천학정'에 대한 '천학정기(天鶴亭記)'를 남기었다.
높이 11Ocm, 폭 41cm, 두께 18.5cm 규모로 갓은 없는 형태이다.
기념비의 전면에는 "면장한공치룡영세기념비(面長韓公致龍永世記念碑)"로 각자되어 있으며,
그 후면에는 1920년에 교암송계의 계원들에 의해 건립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面長韓公致龍永世記念碑
면장한공치룡영세기념비
檀紀四二五三年 庚申八月 日 橋岩松契
단기 4253년 경신팔월 일 교암송계
강릉-강릉 오죽헌(江陵 烏竹軒), 율곡 이이(栗谷 李珥), 신사임당(申師任堂) (0) | 2024.01.20 |
---|---|
고성-청간정(淸澗亭),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문정공 택당 이식(文靖公 澤堂 李植),현석 최규하(玄石 崔圭夏),토성면장 김용집(金溶集), (1) | 2024.01.16 |
고성-화진포 김일성(金日成) 별장, 이기붕(李起鵬) 별장 (1) | 2024.01.06 |
고성-이승만 초대대통령 별장(李承晩 初代大統領 別莊), 우남 이승만(雩南 李承晩), 화진포 설화 (1) | 2024.01.04 |
고성-고성 통일전망대(統一展望臺), 고성지역 전투 충혼탑, 고성망배단(望拜壇) (1) | 202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