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시흥-증 좌찬성 금은군 박태두(錦恩君 朴泰斗),증 좌찬성 금녕군 지비재 박필하(錦寧君 知非齋 朴弼夏),금원군 장익공 노주 박사익(錦原君 章翼公 鷺洲 朴師益)

구름에 달

by 碧巖 2024. 7. 7. 23:08

본문

728x90

반남박씨  증 좌찬성 금은군 박태두(錦恩君 朴泰斗)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 산22-2

有明朝鮮高陽郡守 贈吏曹參判 錦恩君朴公泰斗之墓  贈貞夫人趙氏祔

유명조선고양군수 증이조참판 금은군박공태두지묘  증정부인조씨부

고양군수 증 좌찬성 금은군 박태두(錦恩君 朴泰斗),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백첨(白瞻).

조부는 금양위 분서 박미(禁陽尉 汾西 朴瀰)이고,

아버지는 첨정 박세교(朴世橋)이며, 외조모는 선조(宣祖)의 다섯째 딸 정안옹주(貞安翁主)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뜻이 있었고, 종숙부인 현석 박세채(玄石 朴世采)도 이를 격려하였다.

그러나 1675년(숙종 1)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이 화를 당하자,

선비들과 상소를 올려 변무한 글이 너무 과격하여 과거를 보지 못하는 처벌을 받았다.

1680년(숙종6) 감역(監役)에 제수되었으며, 고양군수를 지냈다.

 

증 좌찬성 금은군 박태두(錦恩君 朴泰斗) 묘역후경

증 정부인 평산신씨

贈貞夫人辛氏之墓

증정부인신씨지묘

 

 

 

 

 

 

 

 

증 좌찬성 금녕군 지비재 박필하(錦寧君 知非齋 朴弼夏)

有明朝鮮國敬陵參奉 贈議政府左贊成錦寧君朴公弼夏之墓 贈貞敬夫人尹氏祔左

유명조선국경릉참봉 증의정부좌찬성금녕군박공필하지묘 증정경부인윤씨부좌

증 좌찬성 금녕군 지비재 박필하(錦寧君 知非齋 朴弼夏)

字(자)는 진명(進明), 호는 지비재(知非齋),

좌찬성에 추증되었고 금녕군(錦寧君)에 봉해짐

금양위 분서 박미(禁陽尉 汾西 朴瀰)의 증손자이며

고양군수를 지낸 증 좌찬성 금은군 박태두(錦恩君 朴泰斗) 의 아들이다

경릉참봉 증 좌찬성 금녕군 지비재 박필하(錦寧君 知非齋 朴弼夏) 묘역후경

 

 

 

 

 

 

 

 

금원군 장익공 노주 박사익(錦原君 章翼公 鷺洲 朴師益)

금원군 장익공 노주 박사익(錦原君 章翼公 鷺洲 朴師益,1675~1736)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겸지(兼之), 호는 노주(鷺洲).

박동량(朴東亮)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박태두(朴泰斗)이고,

아버지는 참봉 박필하(朴弼賀)이며, 어머니는 부사 윤반(尹攀,1637~1685)의 따님이다.

1710년(숙종 36) 생원이 되고

1712년 38세에 정시 문과 병과로 급제하여 사국(史局)에 들었다가 설서를 거쳐 정언이 되었다.

이때 대료(臺僚) 조상건(趙尙健,1672~1721)이

스승인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1607~1689)을 배반한 명재 윤증(明齋 尹拯,1629~1714)을 논란하다가

왕의 뜻에 거슬려 문제가 발생하자 결연히 조상건(趙尙健)을 변호하였다.

그 뒤 도당록(都堂錄)에 선발되었으며, 교리를 거쳐

1717년 70세에 가까운 노부모의 봉양을 위해 외직을 자청해 강서현령(江西縣令)으로 나갔다.

이어 부교리를 거쳐 당시 대리청정하던 왕세자 경종을 위해

시무(時務)에 가장 절실한 상소를 올려 채택되었으며, 이조좌랑에 임명되었다.

경종이 즉위하자 만암 유봉휘(晩菴 柳鳳輝,1659~1727)와

소헌 조태구(素軒 趙泰耉1660~1723)의 죄를 강경하게 논박하였다.

전라도관찰사를 거쳐 1723년(경종 3) 신임(辛壬) 연간의 공신회맹(功臣會盟)에 불참한 죄로

태인(泰仁)으로 귀양갔다가 청하(淸河)로 이배되었다.

영조가 등극하자 귀양에서 풀려 직첩을 돌려받았으며,

이조참의를 거쳐 강화유수에 임명되어 강화의 성곽을 보수하였다.

1727년(영조 3) 특지로 병조판서가 되고, 이어 금원군(錦原君)에 봉해졌으며,

대사헌을 거쳐 형조와 공조 그리고 예조판서를 거쳐 좌참찬을 지냈다.

글씨에도 뛰어나 「우의정민진원비」, 「예조참판안적비」 등이 전한다.

벼슬하던 시기는 격변기여서 평탄한 벼슬 생활만을 하지는 못하였다.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와 형조판서에 재직시 국청에 불참해 파직되었고,

임금이 제를 지내는 황단제(皇壇祭)에 참여하지 않은 죄로 다시 파직되었다.

또 함경도의 시관이 되어 숙배하지 않았다는 죄로 추고(推考)되는 등 험난한 벼슬 생활을 하였다.

시호는 장익(章翼)이다.

正憲大夫兵曹判書兼 知經筵義禁府사春秋館事 世子左副賓客 

정헌대부병조판서겸 지경연의금부사춘추관사 세자좌부빈객 

錦原君 諡章翼朴公諱師益之墓    貞夫人驪興閔氏祔

금원군 시장익박공휘사익지묘    정부인여흥민씨부

금원군 장익공 노주 박사익(錦原君 章翼公 鷺洲 朴師益) 묘역후경

 

//반남박씨 금원군 장익공 노주 박사익(錦原君 章翼公 鷺洲 朴師益) 가계//

 6대조 사헌부 대사헌 박응복(朴應福)

 5대조 금계군 충익공 오창 박동량(錦溪君 忠翼公 梧窓 朴東亮,1569~1635)

고조부 금양위 문정공 분서 박미(文貞公 汾西 朴瀰,1592~1645)

증조부 첨정 증 이조판서 금흥군 박세교(錦興君 朴世橋,1611~1663)

   조부 고양군수 증 좌찬성 금은군 박태두(錦恩君 朴泰斗,1637~ ?)

           배위 증 정부인 풍양조씨, 도산 조내양(道山 趙來陽)의 따님

           배위 증 정부인 평산신씨, 현감 신환(申暅)의 따님, 군수 신희업(申喜業) 손녀

           부친 증 좌찬성 금녕군 지비재 박필하(錦寧君 知非齋 朴弼夏), 참봉 박필하(朴弼賀)

           배위 증 정경부인 남원윤씨, 부사 윤반(尹攀)의 따님

                    금원군 장익공 노주 박사익(錦原君 章翼公 鷺洲 朴師益,1675~1736)

                    배위 정부인 여흥민씨, 우의정 문효공 민진장(文孝公 閔鎭長)의 따님

                    동생 예조참판 박사정(朴師正)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