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아우라지 베개용암
천연기념물 제542호
위 치 : 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신흥리 산209-1,
전망대 :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신답리 산98 일원
1월 전망대에서 바라본 베개용암.
7월 전망대에서 바라본 베개용암.
ㅇ 신생대 제4기 추가령 구조선에서 분출한 현무암질 용암이 옛 한탄강 유로를 따라 흐르다가
영평천과 한탄강이 만나는 지점에서 강물과 만나면서 급랭하여 형성된 것으로
우리나라 육지에서는 발견된 예가 드물다.
ㅇ 선캄브리아기 변성암류와 제4기 현무암질 용암류와의 부정합 구조, 주상절리, 하식애 및
고토양층의 발달 등 지질·지형학적인 가치와 경관적 가치가 우수하다.
※ 아우라지 : 두 개의 물길(한탄강과 영평천)이 만나는 합류지점
※ 베개용암(Pillow Lava) : 용암이 수중에서 분출되거나 수중으로 흘러들어 물과 접촉할 때
급속하게 냉각되는 과정에서 베개모양의 형태를 이루며 굳은 특이한 구조의 용암.
해저산맥에서 용암이 분출할 때 잘 발달하며 육상 환경에서는 매우 희귀한 현상임.
베개용암의 조직은 가장자리가 치밀하며, 내부는 방사상으로 갈라져나간 절리가 특징
벽암 두릉연가
포천- 영평1경 화적연, 고석정 (0) | 2016.02.11 |
---|---|
연천-재인폭포, 비둘기낭폭포 (0) | 2016.02.11 |
포천-창옥병(蒼玉屛)과 옥병서원(玉屛書院), 문충공 사암 박순(思庵 朴淳),와준(窪尊),산금대(散襟臺),토운상(吐雲床),청냉담(淸泠潭),장란(障蘭) (0) | 2016.02.07 |
포천-금수정(金水亭),문온공 척약재 김구용(惕若齋 金九容),증 금옹(贈 琴翁),경도(瓊島),무릉(武陵),동천석문(洞天石門). (0) | 2016.02.07 |
금원군 이영(錦原君 李齡), 하릉군 이인(河陵君 李鏻), 영제군 이석령(寧堤君 李錫齡) (0) | 2016.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