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상 김만덕金萬德
제주시 건입동 387-4 ,김만덕 기념관
1739(영조 15)~1812(순조 12)
김만덕(金萬德)은 제주도에 대기근이 닥치자 전 재산을 풀어
육지에서 사온 쌀을 모두 진휼미로 기부하여 빈사상태의 제주도 백성들을 구제하였다.
이 때문에 제주에서는 의녀(義女) 김만덕으로 불린다.
김만덕은 중개상인 김응열의 딸로 태어났으며 부모를 잃고 12세 고아가 되었다.
친척 집에서 겨우 목숨을 이어가던 만덕은 나이든 기녀의 집에 의탁하였다.
어른이 된 후, 만덕은 기녀가 천시받는 직업임을 알게 되어,
제주목사 신광익에게 탄원하여 양인(良人)으로 환원되었다.
양인이 된 만덕은 객주(客主)를 차려 제주 특산물인 귤, 미역, 말총, 양태(갓의 재료)를
육지의 옷감, 장신구, 화장품과 교환하여 판매하는 상업에 종사하여 돈을 많이 벌었다.
1793년 제주도에서는 세 고을에서만 6백여 명이나 아사할 정도로 심각한 흉년이 계속되었다.
제주목사는 조정으로 장계를 보내어
“흉년이 들어 농작물을 재배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2만여 섬의 구호식량이 없으면 장차 제주 백성들이 다 굶어 죽을 것입니다.”라는 장계를 받고
2만 섬의 구호식량을 보내지만, 그마저도 1795년 수송 선박 다섯 척이 침몰하면서 구호정책은 실패했다.
이때 김만덕은 전 재산을 풀어 5백여 석의 쌀을 사왔는데,
이중 450여 석을 모두 구호식량으로 기부하여 굶주림으로 죽어가던 제주도 민중들을 구원했다.
은광연세(恩光衍世)--은혜의 빛이 온 세상에 퍼진다.
전 재산을 풀어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의녀(義女) 만덕의 알현을 받은 정조가
“너는 한낱 여자의 몸으로 의기(義氣)를 내어 기아자 천백여 명을 구하였으니 기특하다.”라고 칭찬한 것을 보면
당시 만덕의 선행이 얼마나 큰 의미가 있는지 알수 있다.
이듬해인 1796년 만덕의 선행이 알려지자, 정조는 제주목사 이우현을 통해 만덕의 소원을 물어보는데,
만덕은 한양에서 궁궐을 보고, 금강산을 보고 싶다고 하였다.
대답을 들은 정조는 “관의 허락없이 제주도민은 섬밖으로 나가지 못한다.”라는 규칙을 깨고 만덕의 소원을 들어주었다.
또한 내의원 차비대령행수(內醫院 差備待令行首)로 삼아 정조를 알현할 자격을 주고 그녀의 선행에 보답을 하였다.
1812년 73세를 일기로 별세한 김만덕의 묘는 가운이마루 길가에 조성되었으며,
1977년 정월 제주시 건입동의 모충사로 이묘되었다.
김만덕 묘비(金萬德 墓碑)는 2007년 1월 24일 제주특별자치도의 기념물 제64호로 지정되었다.
김만덕이 사망한 지 30여 년이 지난 1840년(헌종 6) 추사 김정희(金正喜)가 제주도에 유배되었을 때,
김정희는 김만덕의 양자 김종주(金鍾周)에게
‘은혜의 빛이 온 세상에 퍼졌다.’는 뜻의 ‘은광연세(恩光衍世)’라는 편액을 써서 주었다.
모충사 사라봉공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사라봉길 75 (건입동)
사라봉 공원 동남 쪽에 있는 모충사는 제주 주민의 성금으로 세워졌다.
조선시대 김만덕 할머니의 구혈의녀탑, 순국지사 조봉호 기념비, 의병항쟁 기념탑이 있다.
醫女班首金萬德義人墓
의녀반수김만덕의인묘
行首內醫女 金萬德之墓
행수내의녀 김만덕지묘
제주시 건입동 387-4
은광연세(恩光衍世)--은혜의 빛이 온 세상에 퍼진다.
제주-용연용두암龍淵龍頭岩,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57호 (0) | 2018.07.13 |
---|---|
제주-모충사, 사라봉공원, 제주의병항쟁기념탑, 순국지사조봉호기념비, 2001제주타임캡슐 (0) | 2018.07.12 |
제주-감사공 강영(康永), 영암 강영, 신천강씨 제주 입도조, 강윤휘(康允暉),강정(康禎),강복(康福),강만(康萬), 조천서원 묘정비 (0) | 2018.07.11 |
제주-김윤조(金胤祖), 광산김씨 제주 입도조 김윤조, 김견노(金堅老) ,김치남(金致南), 김계충(金繼忠) , 영광부사 김수(金須) 장군, (0) | 2018.07.10 |
제주-중서시랑평장사 문경공 계림 고조기(文敬公 鷄林 高兆基) 제주고씨 제주도기념물 제38호 (0) | 2018.06.28 |